실험복
실험복은 실험 또는 연구 활동 시 작업자의 신체를 보호하고 실험 과정에서의 오염을 최소화하기 위해 착용하는 보호복의 일종이다. 주로 과학 실험실, 연구 기관, 의료 기관 등에서 사용된다.
목적 및 기능
- 신체 보호: 유해 물질, 화학 약품, 감염성 물질 등으로부터 피부와 의복을 보호한다.
- 오염 방지: 실험 물질이 외부로 유출되어 환경을 오염시키거나, 외부 물질이 실험 과정에 유입되어 결과를 왜곡하는 것을 방지한다.
- 개인 위생: 실험 중 발생하는 먼지, 땀, 비듬 등이 실험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차단한다.
- 안전 확보: 화재, 폭발 등 위험 상황 발생 시 신체를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재질 및 종류
실험복의 재질은 실험의 종류와 환경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된다. 일반적인 실험실에서는 면, 폴리에스터 혼방 등의 재질이 사용되며, 특수한 경우에는 화학 약품에 강한 내화학성 소재나 정전기 방지 기능이 있는 소재가 사용되기도 한다.
- 면: 흡수성이 좋고 통기성이 우수하여 일반적인 실험 환경에 적합하다.
- 폴리에스터 혼방: 내구성이 좋고 세탁이 용이하여 관리가 편리하다.
- 내화학성 소재: 강산, 강알칼리 등 부식성 물질에 대한 저항성이 높아 화학 실험에 적합하다.
- 정전기 방지 소재: 정전기 발생을 억제하여 전자 장비나 폭발성 물질을 다루는 실험에 적합하다.
실험복의 형태는 주로 긴팔 가운 형태이며, 필요에 따라 앞치마, 토시, 장갑, 보안경, 마스크 등을 함께 착용한다.
관리 및 폐기
실험복은 사용 후 세탁하여 재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유해 물질에 오염된 경우에는 별도의 폐기 절차를 거쳐야 한다. 감염성 물질에 오염된 실험복은 반드시 소독 후 폐기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