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키드마크
스키드마크 (Skid mark)는 급제동 시 타이어가 노면에 마찰하면서 남기는 검은색 자국을 의미한다. 주로 차량, 자전거 등의 바퀴가 회전을 멈춘 상태에서 미끄러지면서 발생하며, 사고 현장 조사나 교통 분석에 중요한 단서가 된다.
특징
- 색상: 타이어의 고무 성분과 노면의 먼지, 오일 등이 혼합되어 검은색을 띠는 경우가 많다. 노면의 재질에 따라 색상이 다를 수 있다.
- 형태: 일반적으로 길고 직선 형태를 띠지만, 차량의 움직임이나 노면 상태에 따라 다양한 형태를 나타낼 수 있다. 급격한 방향 전환과 함께 스키드마크가 발생하면 굽거나 휘어지는 형태를 보이기도 한다.
- 발생 원인: 급제동, 급선회, 미끄러운 노면 상태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한다. ABS (Anti-lock Braking System)가 장착된 차량의 경우, 타이어가 완전히 멈추지 않고 간헐적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스키드마크가 생기지 않거나, 짧게 끊어진 형태로 나타날 수 있다.
중요성
- 사고 분석: 스키드마크의 길이, 형태, 방향 등을 분석하여 사고 당시 차량의 속도, 이동 경로, 제동 시점 등을 추정할 수 있다.
- 교통 법규 위반 증거: 과속, 급제동 등 교통 법규 위반 여부를 판단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 사고 재구성: 스키드마크를 토대로 사고 상황을 재구성하여 사고 원인을 규명하고 책임 소재를 가리는 데 활용된다.
주의사항
- 스키드마크의 해석은 전문적인 지식을 필요로 하며, 다양한 요소를 고려해야 정확한 분석이 가능하다.
- 노면 상태, 차량 종류, 타이어 상태 등에 따라 스키드마크의 형태와 길이가 달라질 수 있으므로, 섣부른 판단은 금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