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39,965건

세운재정비촉진지구

세운재정비촉진지구는 서울특별시 도심부의 체계적인 도시 환경 정비와 기능 회복, 기반 시설 확충 등을 목적으로 「도시재정비 촉진을 위한 특별법」에 따라 지정된 구역이다. 종로구 세운상가 일대와 그 주변 지역을 포함하며, 북으로는 종묘, 남으로는 남산에 이르는 서울 도심의 핵심 축에 위치한다.

개요

세운재정비촉진지구는 서울 도심 내에서도 역사적, 상업적 중요성이 높은 지역이지만, 1960년대에 건설된 세운상가를 비롯한 노후 건축물이 밀집해 있어 도시 기능이 저하되고 주거 환경이 열악하다는 문제가 제기되어 왔다. 이에 따라 이 지역을 계획적으로 재정비하여 도심의 활력을 되찾고 공공 공간을 확보하며, 주변의 역사 문화 자원과의 연계를 강화하는 것을 목표로 촉진지구로 지정되었다.

지정 배경 및 목적

  • 노후 건축물 밀집: 1960년대에 건설된 세운상가와 그 주변의 낡은 건물들이 도시 미관을 해치고 안전 문제를 야기.
  • 도시 기능 저하: 상업, 주거, 산업 등 다양한 기능이 혼재되어 있으나, 기반 시설 부족 및 환경 악화로 기능적 효율성 저하.
  • 역사 문화 자원과의 단절: 종묘, 창경궁 등 주변의 주요 역사 문화 자원과 물리적으로 단절되어 연계성이 부족.
  • 목적: 쾌적하고 편리한 도시 환경 조성, 상업/업무 기능 활성화, 녹지 축 및 보행자 공간 확보, 주변 지역과의 연계 강화.

역사

세운상가는 1960년대 서울 도심 재개발 계획의 일환으로 건설되었으며, 당시에는 한국 최초의 주상복합 건물이자 현대 건축의 상징 중 하나였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면서 건물 노후화와 도시 환경 변화로 쇠퇴하게 되었다. 2000년대 들어 서울 도심 재정비 계획이 본격화되면서 세운상가 일대가 재정비촉진지구로 지정되었고, 초기에는 세운상가 건물을 전면 철거하고 대규모 공원과 초고층 빌딩을 건설하는 계획이 추진되기도 했다. 그러나 이후 도시 재생 및 역사성 보존의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세운상가의 일부를 보존하고 리모델링하며 주변 지역을 단계적으로 정비하는 방향으로 계획이 변경되었다. 특히 2010년대 중반 이후에는 세운상가 본체의 보존 및 재생 사업과 함께 주변 구역의 개별 사업이 진행되고 있다.

주요 사업 내용 및 특징

세운재정비촉진지구는 여러 개의 세부 구역(정비구역)으로 나뉘어 사업이 진행된다. 주요 사업 내용은 다음과 같다.

  • 세운상가 본체 재생: 세운상가, 청계상가, 대림상가 등 기존 건물의 일부를 리모델링하고 상부 보행로를 연결하여 공중 보행 네트워크를 구축.
  • 주변 정비구역 개발: 노후 건축물을 철거하고 신축 건물을 건설하며, 이 과정에서 업무, 상업, 주거 시설 등이 복합적으로 조성.
  • 공공 공간 및 기반 시설 확충: 공원, 녹지, 광장 등 시민을 위한 열린 공간을 조성하고, 도로, 주차장 등 기반 시설을 개선.
  • 북악산~남산 녹지 축 연결: 단절되었던 도심의 녹지 공간을 세운상가 일대의 공원 및 녹지 조성을 통해 연결.
  • 역사 문화 자원 연계: 종묘, 창경궁 등 주변 역사 지구와의 보행 접근성을 개선하고 경관을 정비하여 역사 도심으로서의 가치를 회복.

논란 및 과제

세운재정비촉진지구 사업은 오랜 기간 진행되면서 여러 논란에 휩싸였다.

  • 원주민 및 상인 이주 문제: 오랜 기간 이 지역에서 터전을 잡았던 주민과 상인들의 이주 및 생계 대책 마련에 대한 어려움.
  • 역사성 및 산업 생태계 보존: 세운상가 일대의 독특한 역사적 가치와 전자, 기계 등 기존 산업 생태계를 얼마나 보존하고 계승할 것인가에 대한 논란.
  • 계획의 일관성 부족: 초기 전면 철거 계획에서 보존 및 재생으로 계획이 변경되면서 사업 추진에 혼선 발생.
  • 사업 지연 및 비용: 복잡한 이해관계와 난개발 방지 등으로 인해 사업이 장기간 지연되고 사업비가 증가하는 문제.

현재 상태

현재 세운재정비촉진지구 내 일부 구역은 정비 사업이 완료되거나 활발히 진행 중이며, 새로운 건물들이 들어서고 공공 공간이 조성되고 있다. 그러나 전체 지구의 사업 완료까지는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되며, 변화하는 도시 환경과 사회적 요구에 맞춰 사업의 방향성과 내용에 대한 지속적인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