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21,099건

왕대비

왕대비는 조선시대 및 대한제국 시대에 사용된 용어로, 선왕의 대비(先王의 大妃)를 높여 부르는 칭호이다. 즉, 먼저 세상을 떠난 임금의 정비(正妃)로서 현임 임금의 생모가 아닌 경우에 해당한다.

정의 및 역할

왕대비는 왕실의 최고 어른으로서 존경받는 위치에 있었으며, 국정 운영에 대한 조언이나 왕실의 주요 의례에 참여하는 등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했다. 어린 임금이 즉위했을 경우, 수렴청정을 통해 섭정을 맡기도 했다. 또한 왕실의 안녕과 번영을 기원하는 역할을 수행했으며, 왕실 여성들의 교육 및 규범 확립에도 관여했다.

칭호 및 예우

왕대비는 대비보다 더 높은 존칭을 받았으며, 거처 또한 대비전보다 격이 높은 전각을 사용했다. 의복, 음식 등 생활 전반에 걸쳐 왕에 준하는 예우를 받았다. 왕대비의 생신이나 길일에는 왕이 직접 문안을 드리고, 왕실의 경사에도 왕대비에게 가장 먼저 알리는 등 극진한 존경을 표했다.

역사 속의 왕대비

조선 시대에는 문정왕후, 정순왕후 등이 왕대비로서 국정에 큰 영향력을 행사했다. 특히 문정왕후는 명종이 어린 나이에 즉위하자 수렴청정을 통해 국정을 주도하기도 했다. 정순왕후는 영조의 계비로서 어린 정조를 보필하며 왕실의 안정을 도모했다.

관련 용어

  • 대비: 현임 임금의 생모
  • 태왕대비: 선왕의 대비의 대비, 즉 선왕의 할머니 (증조할머니)
  • 수렴청정: 어린 임금을 대신하여 왕대비나 대비가 정치를 하는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