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21,581건

휴면기

휴면기 (休眠期, dormancy)는 생물이 생장, 발달, 활동을 일시적으로 멈추고 생존에 필요한 최소한의 대사 활동만 유지하는 상태를 말한다. 이는 외부 환경 조건이 생존에 불리할 때 나타나는 적응 전략으로, 추위, 건조, 영양 부족 등과 같은 환경적 스트레스를 견딜 수 있게 해준다. 휴면기는 씨앗, 포자, 식물의 겨울눈, 일부 동물 등 다양한 생물에서 관찰될 수 있다.

휴면의 종류

휴면은 유발 요인과 생리적 기전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될 수 있다. 주요 분류는 다음과 같다.

  • 내생 휴면 (Endodormancy): 생물체 내부의 요인, 특히 호르몬 균형에 의해 조절되는 휴면이다. 외부 환경이 적합하더라도 자체적인 생리적 조건이 충족되지 않으면 휴면 상태를 유지한다. 주로 식물의 겨울눈에서 나타난다.
  • 외생 휴면 (Ecodormancy): 외부 환경 조건, 예를 들어 온도, 광주기, 수분 부족 등에 의해 유발되고 유지되는 휴면이다. 환경 조건이 개선되면 휴면 상태에서 벗어날 수 있다.
  • 가휴면 (Paradormancy): 식물에서 주아(主芽)가 정단 우성에 의해 억제되어 발생하는 휴면이다. 주아가 제거되면 옆눈이 생장할 수 있다.

휴면의 생리적 변화

휴면기에 들어간 생물은 다음과 같은 생리적 변화를 겪는다.

  • 대사 활동 저하: 에너지 소비를 최소화하기 위해 호흡률, 단백질 합성 등 대사 과정이 현저히 감소한다.
  • 세포 보호: 세포막 안정화, 항산화 물질 생성 등을 통해 세포 손상을 방지한다.
  • 저장 물질 축적: 휴면 기간 동안 생존에 필요한 에너지원을 확보하기 위해 탄수화물, 지방 등 저장 물질을 축적한다.
  • 내한성/내건성 증가: 세포 내 수분 함량을 줄이고 부동액 역할을 하는 물질을 생성하여 추위나 건조에 대한 저항성을 높인다.

휴면의 중요성

휴면은 생물이 불리한 환경 조건에서 생존하고 번식하는 데 필수적인 적응 메커니즘이다. 특히 계절 변화가 뚜렷한 지역에서 생물은 휴면을 통해 겨울 추위나 여름 가뭄과 같은 극단적인 환경을 극복하고 생존할 수 있다. 또한, 농업 분야에서는 작물의 휴면 특성을 이해하고 조절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데 활용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특정 품종의 휴면 기간을 조절하여 수확 시기를 조절하거나, 인위적으로 휴면을 타파시켜 작물의 생장을 촉진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