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액선
타액선 (唾液腺, salivary gland)은 구강 내로 타액을 분비하는 외분비샘이다. 타액은 음식물의 소화를 돕고 구강을 청결하게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사람의 경우 주타액선과 부타액선으로 나뉜다.
주타액선
주타액선은 크기가 크고, 타액 분비량이 많으며, 특정 위치에 자리 잡고 있다. 다음 세 종류가 있다.
- 귀밑샘 (이하선, Parotid gland): 가장 큰 타액선으로, 얼굴의 양쪽 귀 바로 앞쪽에 위치한다. 장액성 타액을 주로 분비하며, 침샘관을 통해 구강으로 연결된다. 볼거리(유행성 이하선염) 바이러스 감염의 주요 부위이다.
- 턱밑샘 (악하선, Submandibular gland): 턱뼈 아래쪽에 위치하며, 장액과 점액을 모두 분비하는 혼합샘이다. 와르톤관을 통해 구강으로 연결된다.
- 혀밑샘 (설하선, Sublingual gland): 혀 아래쪽에 위치하며, 점액성 타액을 주로 분비한다. 여러 개의 작은 관 (리비누스관)을 통해 구강으로 직접 분비하거나, 일부는 와르톤관으로 합류한다.
부타액선
부타액선은 점막 아래에 흩어져 있는 작은 타액선으로, 입술, 뺨, 입천장 등에 분포한다. 주로 점액성 타액을 분비하여 구강 점막을 촉촉하게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주타액선에 비해 크기가 작고 분비량도 적지만, 구강 건조를 방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타액의 기능
타액은 다음과 같은 다양한 기능을 수행한다.
- 소화 작용: 아밀라아제(프티알린)와 같은 소화 효소를 함유하여 음식물, 특히 탄수화물의 분해를 돕는다.
- 윤활 작용: 음식물을 부드럽게 만들어 삼키기 쉽게 하고, 발음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돕는다.
- 항균 작용: 라이소자임, 면역글로불린 A(IgA) 등 항균 물질을 함유하여 구강 내 세균 증식을 억제한다.
- 구강 청결 유지: 음식물 찌꺼기를 씻어내고, 치아 표면을 보호하며, 구강 내 pH를 조절하여 치아 우식증을 예방한다.
- 미각 작용: 음식물을 용해시켜 맛을 느끼게 한다.
타액선 질환
타액선에 발생할 수 있는 질환으로는 타액선염, 타석증, 종양 등이 있다. 타액선염은 바이러스나 세균 감염으로 인해 발생하며, 타석증은 타액선 내에 돌(타석)이 생겨 타액의 흐름을 막는 질환이다. 타액선 종양은 양성 또는 악성일 수 있으며, 수술적 제거가 필요할 수 있다.
참고 문헌
(관련 의학 교과서 및 논문 정보 추가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