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장액
등장액은 생물학, 특히 삼투압과 관련된 생리학적 용어로서, 특정 세포나 조직을 담근 용액의 삼투압이 해당 세포 또는 조직의 내부 삼투압과 동일한 상태를 의미한다. 즉, 세포 안팎으로 물의 이동이 순 이동 없이 평형을 이루는 상태를 말한다. 등장액 환경에 놓인 세포는 수축하거나 팽창하지 않고 정상적인 형태와 기능을 유지할 수 있다.
등장액은 세포의 생존과 기능 유지에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인체 내 혈액이나 체액은 세포가 정상적으로 기능할 수 있도록 등장액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만약 체액의 삼투압이 세포 내부의 삼투압보다 높으면 (고장액), 세포 내부의 물이 외부로 빠져나가 세포가 수축하게 된다. 반대로 체액의 삼투압이 세포 내부의 삼투압보다 낮으면 (저장액), 외부의 물이 세포 내부로 유입되어 세포가 팽창하고 심한 경우 파괴될 수 있다.
등장액의 개념은 의학 분야에서 수액 요법을 포함한 다양한 치료적 접근에 활용된다. 예를 들어, 탈수 증상이 있는 환자에게 등장액 성분의 수액을 투여하여 체액의 전해질 균형을 회복시키고 세포의 정상적인 기능을 유지하도록 돕는다. 또한, 등장액은 세포 배양과 같은 실험 환경에서도 세포의 생존력을 유지하기 위해 필수적으로 사용된다.
등장액과 관련된 주요 개념은 다음과 같다.
- 삼투압: 용액의 농도 차이에 의해 발생하는 압력으로, 용매가 반투막을 통해 농도가 낮은 쪽에서 높은 쪽으로 이동하려는 경향을 나타낸다.
- 고장액 (Hypertonic solution): 세포 내부보다 삼투압이 높은 용액.
- 저장액 (Hypotonic solution): 세포 내부보다 삼투압이 낮은 용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