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정
서정 (抒情)은 개인의 주관적인 감정이나 정서를 표현하는 문학 양식 또는 그러한 성격을 띤 예술 작품을 의미한다. 객관적인 사실이나 사건의 전달보다는 작가의 내면세계, 즉 기쁨, 슬픔, 사랑, 그리움, 고독 등 다양한 감정을 섬세하고 아름다운 언어로 표현하는 데 초점을 맞춘다.
개요
서정은 문학의 주요 갈래 중 하나로, 서사, 극과 함께 3대 갈래를 이룬다. 서정 문학의 대표적인 형태는 시이며, 수필, 소설 등 다른 장르에서도 서정적인 분위기나 표현 기법을 활용할 수 있다. 서정적인 작품은 독자의 감성을 자극하고 공감을 불러일으키며, 인간의 보편적인 정서를 깊이 있게 탐구하는 역할을 한다.
특징
- 주관성: 작가의 개인적인 감정과 경험에 기반하여 표현된다.
- 감정 중심: 객관적인 사실 전달보다는 감정의 표현이 주를 이룬다.
- 함축성: 간결하고 압축적인 언어를 사용하여 깊은 의미를 전달한다.
- 상징성: 비유, 상징 등 다양한 표현 기법을 통해 감정을 효과적으로 드러낸다.
- 음악성: 운율, 리듬 등을 활용하여 언어의 아름다움을 살리고 감정을 고조시킨다.
서정 문학의 예
- 시: 정지용의 "향수", 김소월의 "진달래꽃", 윤동주의 "서시" 등
- 수필: 피천득의 "인연", 법정 스님의 "무소유" 등
- 소설: 황순원의 "소나기", 김유정의 "봄봄" (서정적인 분위기를 띠는 부분)
같이 보기
- 서사
- 극
- 시
- 수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