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29,942건

사림파

사림파(士林派)는 조선시대 성리학을 신봉하며 이상적인 정치를 추구했던 정치 세력을 지칭한다. 훈구파에 대항하여 등장했으며, 주로 지방의 중소 지주 출신으로 구성되었다. 성리학적 가치관을 바탕으로 향촌 사회의 교화와 민생 안정에 힘썼으며, 붕당 정치의 한 축을 이루었다.

개요

사림파는 15세기 후반부터 16세기 초에 걸쳐 훈구 세력의 부패와 권력 남용을 비판하며 등장했다. 김종직을 중심으로 한 영남학파가 대표적이며, 조광조 등의 기호학파도 사림파의 주요 흐름을 형성했다. 이들은 성리학적 이념에 투철하여 왕도정치와 향촌 자치를 강조했으며, 언관직을 중심으로 훈구 세력의 비리를 탄핵하는 데 앞장섰다.

주요 활동 및 사건

  • 성종 대: 김종직을 등용하여 훈구 세력을 견제하기 시작했다.
  • 연산군 대: 무오사화(1498)와 갑자사화(1504)를 겪으며 큰 타격을 입었다.
  • 중종 대: 조광조를 등용하여 개혁 정치를 추진했으나, 기묘사화(1519)로 인해 다시 몰락했다.
  • 명종 대: 을사사화(1545)를 거치며 정치적 기반이 약화되었다.
  • 선조 대: 척신 정치의 폐단을 비판하며 재등용되었고, 이후 동인과 서인으로 분열되어 붕당 정치를 이끌었다.

사상적 특징

  • 성리학적 가치관: 성리학의 이념을 절대적으로 신봉하며, 수기치인(修己治人)의 도를 실천하고자 했다.
  • 왕도정치 추구: 이상적인 왕도정치를 실현하기 위해 군주의 도덕적 수양과 백성을 위한 정책을 강조했다.
  • 향촌 자치 강조: 향촌 사회의 질서 유지와 교화를 위해 향약, 사창 등의 자치 규약을 장려했다.
  • 절의와 명분 중시: 불의에 저항하고 올바른 명분을 따르는 것을 중요하게 여겼다.

영향 및 평가

사림파는 조선 사회에 성리학적 이념을 확산시키고, 왕도정치와 향촌 자치의 기반을 마련하는 데 기여했다. 그러나 붕당 정치의 심화와 당쟁의 폐해를 초래했다는 비판도 받는다. 사림파의 사상과 활동은 조선 후기 사회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오늘날까지도 한국 정치사 연구의 중요한 주제로 남아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