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정선거
부정선거는 선거 과정에서 발생하는 불법적이거나 비윤리적인 조작 행위를 통해 선거 결과를 왜곡하려는 시도를 말한다. 이는 민주주의의 핵심 원칙인 공정하고 자유로운 선거를 근본적으로 훼손하는 심각한 범죄 행위이다.
부정선거는 유권자 등록부터 선거 운동, 투표, 개표, 결과 집계에 이르기까지 선거 과정의 모든 단계에서 다양한 형태로 나타날 수 있다. 대표적인 예로는 유권자를 매수하거나 협박하는 행위, 가짜 유령 유권자를 만들거나 이미 사망한 사람의 이름으로 투표하는 행위, 투표함 바꿔치기나 위조 투표용지를 사용하는 행위, 개표 결과를 조작하거나 집계 오류를 유도하는 행위, 불법적인 선거 운동을 통해 특정 후보에게 유리하도록 여론을 조작하는 행위 등이 있다. 또한, 유권자 명부를 고의로 누락시키거나 잘못 기재하여 특정 계층의 투표를 방해하는 행위, 이중 투표를 허용하거나 조장하는 행위 등도 부정선거의 유형에 포함된다.
부정선거가 발생하면 선거의 정당성이 심각하게 훼손되고, 선거 결과에 대한 국민의 불신이 커져 사회적 혼란과 갈등을 야기할 수 있다. 특히 권위주의 체제에서는 정권 유지를 위해 부정선거를 수단으로 악용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부정선거를 방지하고 감시하기 위해 독립적인 선거 관리 기구, 국제 선거 감시단, 시민 사회의 감시와 법적 구제 절차 등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 많은 국가에서 부정선거 의혹은 정치적 불안정의 주요 원인이 되며, 민주주의 발전과정에서 중요한 과제로 다루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