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조
해조는 바다에서 자라는 식물을 통칭하는 말이다. 일반적으로 조류(藻類)라고도 불리며, 넓은 의미로는 해산현화식물(海産顯花植物)을 포함하기도 한다.
개요
해조류는 광합성을 통해 에너지를 생산하는 자가영양생물이며, 다양한 색깔과 형태를 가진다. 엽록소 외에 다른 색소를 가지고 있어 녹조류, 갈조류, 홍조류 등으로 분류된다. 해조류는 생태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며, 많은 해양 생물들의 먹이가 되거나 서식처를 제공한다. 또한, 인간에게는 식량, 의약품, 화장품 등의 원료로 이용되기도 한다.
분류
- 녹조류: 엽록소를 주로 가지고 있어 녹색을 띠며, 파래, 청각 등이 대표적이다.
- 갈조류: 푸코잔틴이라는 색소를 가지고 있어 갈색을 띠며, 미역, 다시마, 톳 등이 대표적이다.
- 홍조류: 피코에리트린이라는 색소를 가지고 있어 붉은색을 띠며, 김, 우뭇가사리, 꼬시래기 등이 대표적이다.
생태적 중요성
해조류는 바다 생태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광합성을 통해 산소를 생산하고, 이산화탄소를 흡수하여 지구 온난화 방지에 기여한다. 또한, 많은 해양 생물들의 먹이가 되거나 서식처를 제공하며, 생물 다양성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용
해조류는 식량, 의약품, 화장품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식량으로는 김, 미역, 다시마 등이 널리 소비되며, 의약품으로는 알긴산, 한천 등이 사용된다. 화장품으로는 해조류 추출물이 피부 보습 및 미백 효과를 위해 사용되기도 한다.
관련 용어
- 조류 (藻類)
- 해산현화식물 (海産顯花植物)
- 엽록소
- 푸코잔틴
- 피코에리트린
- 알긴산
- 한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