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37,644건

사설시조

사설시조(辭說時調)는 한국의 시조(時調) 형식 중 하나로, 조선 후기에 크게 유행했던 갈래이다. 기존 시조의 기본 형식인 초장(初章), 중장(中章), 종장(終章)의 3장 형식을 따르지만, 특히 중장이나 종장의 길이가 정형화된 45자 내외에서 대폭 늘어나 파격적이고 산문적인 특징을 보이는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형식과 특징

  • 길이의 확장: 평시조(平時調)는 초장, 중장, 종장이 각 15자 내외로 전체 45자 내외의 정형성을 가지는 반면, 사설시조는 중장이나 종장, 또는 그 이상의 장이 2구(句) 이상으로 늘어나는 경우가 많아 길이가 길어진다. 이러한 길이의 확장은 정형률의 파괴를 의미하지만, 3장 형식의 틀은 유지한다.
  • 언어의 사용: 일상생활에서 쓰는 구어체(口語體), 비속어, 속담, 의성어(擬聲語), 의태어(擬態語) 등이 자주 사용되어 생동감과 현장감이 넘친다. 기존 시조의 격식 높은 언어와는 대조적이다.
  • 내용과 주제: 서민들의 애환, 생활의 어려움, 남녀 간의 사랑(때로는 노골적이고 해학적), 사회의 부조리에 대한 풍자, 양반 계층에 대한 조롱 등 현실적이고 솔직한 내용을 폭넓게 다룬다. 자연 예찬, 충효 등 관념적인 주제보다는 인간적인 감정과 일상적인 경험에 초점을 맞춘다.
  • 작자층: 주로 평민, 중인(中人), 기생(妓生) 등 다양한 신분 계층에서 창작되고 향유되었다. 기존 시조가 주로 사대부(士大夫) 계층에 의해 창작되었던 것과는 다르다.

역사적 배경 및 의의

사설시조는 조선 후기 사회의 변화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상업의 발달과 도시의 성장으로 평민층의 경제적, 사회적 위상이 상승하면서, 이들의 삶과 의식을 반영하는 새로운 문학 형태가 요구되었다. 사설시조는 이러한 시대적 요구에 부응하여, 기존의 틀에 얽매이지 않고 자유롭고 솔직하게 자신들의 감정과 현실을 표현하는 문학 갈래로 발전했다.

사설시조는 조선 후기 서민 문화의 성장과 발전을 보여주는 중요한 문학 형식으로 평가받으며, 한국 문학사에서 다양성과 생동감을 더한 갈래로 자리매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