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31,206건

척수로

척수 (脊髓, spinal cord)는 중추신경계의 주요 구성 요소 중 하나로, 뇌와 말초신경계 사이의 신경 신호 전달 통로 역할을 하는 길다란 신경 조직이다. 척주는 뇌의 연수(medulla oblongata)에서 이어져 내려와 허리 부분까지 이어진다. 척수는 척추뼈에 의해 보호받으며, 뇌로부터 받은 운동 명령을 말초 신경을 통해 근육에 전달하고, 반대로 피부, 근육, 내장 등에서 감지한 감각 정보를 뇌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구조

척수는 척추관 내에 위치하며, 뇌와 연결된 위쪽 부위부터 아래쪽으로 경수(cervical spinal cord), 흉수(thoracic spinal cord), 요수(lumbar spinal cord), 천수(sacral spinal cord) 및 미수(coccygeal spinal cord)로 나뉜다. 척수의 단면을 살펴보면, 바깥쪽은 백색질(white matter), 안쪽은 회색질(gray matter)로 구성되어 있다. 백색질은 주로 신경 섬유(axon) 다발로 이루어져 있으며, 회색질은 신경 세포체(cell body)와 신경교세포(glial cell)로 구성되어 있다. 회색질은 앞쪽으로 뻗은 전각(anterior horn)과 뒤쪽으로 뻗은 후각(posterior horn)으로 나뉘며, 전각은 주로 운동 신경 세포체를 포함하고, 후각은 주로 감각 신경 세포체를 포함한다.

기능

척수의 주요 기능은 다음과 같다.

  • 신경 신호 전달: 뇌와 말초 신경계 간의 신경 신호를 전달하는 통로 역할을 한다. 운동 명령은 뇌에서 척수를 통해 말초 신경으로 전달되어 근육을 움직이게 하고, 감각 정보는 말초 신경에서 척수를 거쳐 뇌로 전달되어 감각을 느끼게 한다.
  • 반사 작용 조절: 위험한 상황에 즉각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반사 작용을 조절한다. 예를 들어, 뜨거운 물건을 만졌을 때 무의식적으로 손을 떼는 반사 작용은 척수의 신경 회로를 통해 빠르게 이루어진다.
  • 자율신경계 조절: 심박수, 호흡, 소화 등 생명 유지에 필수적인 자율신경계의 일부 기능을 조절한다.

관련 질환

척수에 손상이 발생하면 운동 및 감각 기능에 장애가 발생할 수 있다. 척수 손상의 정도와 위치에 따라 마비, 감각 상실, 자율신경계 기능 장애 등 다양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주요 척수 관련 질환으로는 척수 손상, 척수염, 척수 종양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