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초과학
기초과학 (基礎科學, Basic science)은 자연 현상의 원리나 법칙을 탐구하는 학문 분야를 통칭하는 용어이다. 응용과학이나 공학과 대비되는 개념으로, 직접적인 실용적인 목적보다는 지식 자체의 확장과 심화를 목표로 한다. 때로는 순수과학(純粹科學, Pure science)이라고도 불린다.
개요
기초과학은 자연, 생명, 우주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근본적인 질문을 던지고, 실험, 관찰, 이론 정립 등의 방법을 통해 답을 찾아나간다. 이러한 탐구 과정에서 얻어진 지식은 새로운 기술 개발의 토대가 되기도 하며, 인류의 지적 호기심을 충족시키는 데에도 기여한다. 수학, 물리학, 화학, 생물학, 천문학, 지구과학 등이 대표적인 기초과학 분야에 속한다.
특징
- 지식 탐구: 직접적인 응용보다는 현상의 이해와 설명에 집중한다.
- 보편성: 특정 현상에 국한되지 않고, 일반적인 원리나 법칙을 발견하고자 한다.
- 장기적 관점: 단기적인 성과보다는 장기적인 관점에서 지식 체계를 구축한다.
- 탐구의 자유: 연구 주제 선정이나 방법론에 대한 제약이 상대적으로 적다.
중요성
기초과학 연구는 새로운 기술 개발의 근간이 되며, 사회 발전에 필수적인 요소이다. 또한, 과학적 사고방식과 합리적인 의사 결정 능력을 함양하는 데에도 기여한다. 기초과학 분야의 발전은 응용과학 및 공학 분야의 발전으로 이어져 궁극적으로 인류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 이바지한다. 과학 기술 경쟁력 강화를 위해서도 기초과학 투자는 매우 중요하다.
연구 분야
- 수학: 수와 도형, 공간의 성질 등을 연구하는 학문
- 물리학: 물질과 에너지, 그리고 이들 사이의 상호작용을 연구하는 학문
- 화학: 물질의 성질, 조성, 구조 및 변화를 연구하는 학문
- 생물학: 생명체의 구조, 기능, 진화 등을 연구하는 학문
- 천문학: 천체의 운동, 물리적 성질, 진화 등을 연구하는 학문
- 지구과학: 지구의 구조, 성분, 역사 및 변화를 연구하는 학문
같이 보기
- 응용과학
- 순수과학
- 과학기술
- 이론물리학
- 실험물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