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도국
개도국(開發途上國)은 경제 발전 수준이 선진국에 미치지 못하는 국가들을 지칭하는 용어입니다. 개발 도상국은 일반적으로 1인당 국민 소득이 낮고, 산업 기반이 취약하며, 사회 기반 시설이 미비한 특징을 보입니다.
개념 및 정의
개도국이라는 용어는 '개발'이라는 개념에 내포된 가치 판단 때문에 비판을 받기도 하지만, 국제 사회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명확한 기준은 없지만, 세계은행(World Bank)이나 국제 통화 기금(IMF) 등의 국제 기구에서는 소득 수준, 산업 구조, 사회 지표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개도국을 분류합니다. 일반적으로 저소득 국가와 중소득 국가가 개도국에 해당하며, 때로는 고소득 국가 중에서도 특정 분야에서 개발이 필요한 국가를 개도국으로 분류하기도 합니다.
특징
개도국은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습니다.
- 낮은 1인당 국민 소득: 국민들의 평균적인 생활 수준이 낮습니다.
- 취약한 산업 기반: 제조업이나 서비스업 등의 산업이 충분히 발전하지 못했습니다.
- 미비한 사회 기반 시설: 도로, 통신, 에너지, 교육, 의료 등의 사회 기반 시설이 부족합니다.
- 높은 빈곤율: 빈곤층의 비율이 높고, 소득 불평등이 심합니다.
- 높은 인구 증가율: 출산율이 높고, 인구 증가 속도가 빠릅니다.
- 정치적 불안정: 정치 체제가 불안정하고, 사회 갈등이 심합니다.
국제 사회의 노력
국제 사회는 개도국의 경제 발전을 지원하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선진국들은 개도국에 대한 경제 원조를 제공하고, 기술 이전을 지원하며, 무역 장벽을 낮추는 등의 정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또한, 국제 기구들은 개도국의 경제 개발 계획을 수립하고, 자금을 지원하며, 기술 자문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관련 용어
- 선진국: 경제 발전 수준이 높은 국가
- 후진국: 경제 발전 수준이 매우 낮은 국가 (현재는 잘 사용하지 않음)
- 최빈국: 가장 가난한 국가
- 남북 문제: 선진국과 개도국 간의 경제적 불평등 문제
- 지속 가능한 개발: 환경을 보호하면서 경제 성장을 추구하는 개발 방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