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33,935건

탕아

탕아는 재산을 탕진하고 방탕한 생활을 하는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이다. 주로 부모나 가족의 재산을 함부로 낭비하며, 향락과 유흥에 빠져 건전한 사회생활을 영위하지 못하는 사람을 지칭할 때 사용된다.

어원 및 유래

'탕아'라는 단어는 한자어 '蕩兒'에서 유래되었다. '蕩(탕)'은 '씻다', '쓸어버리다' 등의 의미를 가지며, 여기서는 재산을 '탕진하다'라는 의미로 사용되었다. '兒(아)'는 '아이', '사람'을 뜻한다. 따라서 '탕아'는 직역하면 '재산을 탕진하는 사람'이라는 의미가 된다.

탕아의 개념은 서양의 'Prodigal Son(돌아온 탕자)' 우화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이는 성경 누가복음에 등장하는 이야기로, 아버지의 재산을 미리 받아 방탕한 생활을 하다가 모든 것을 잃고 돌아온 아들을 묘사하며, 용서와 회개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이러한 이야기는 문학, 예술 등 다양한 분야에서 탕아의 이미지를 형성하는 데 영향을 미쳤다.

특징

탕아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보이는 경우가 많다.

  • 낭비벽: 재물을 가치 있게 사용하지 않고 함부로 낭비하는 경향이 있다.
  • 향락 추구: 유흥, 도박, 사치 등 순간적인 쾌락을 추구하는 데 몰두한다.
  • 무책임: 자신의 행동에 대한 책임감이 부족하며, 미래에 대한 계획 없이 현재를 즐기는 데 집중한다.
  • 가족과의 갈등: 재산 탕진으로 인해 가족과의 관계가 악화되는 경우가 많다.
  • 사회 부적응: 건전한 사회생활을 영위하지 못하고, 주변 사람들과의 관계 형성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활용 예시

  • "그는 젊은 시절 탕아처럼 살았다."
  • "그 회사는 탕아 경영진 때문에 위기에 빠졌다."
  • "소설 속 주인공은 탕아의 전형적인 모습을 보여준다."

관련 용어

  • 방탕아
  • 건달
  • 한량
  • 돌아온 탕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