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청
분청은 조선시대 전기(15세기 초~16세기 중엽)에 주로 제작된 한국의 도자기 기법 및 그 도자기를 통칭하는 용어이다. 태토(흙)의 색깔이 회색이나 흰색을 띠고, 그 위에 흰색 또는 회색의 분(粉)을 바르고 청화안료(코발트 안료)를 사용하여 장식한 것이 특징이다. 분청사기는 고려청자의 전통을 계승하면서도, 새로운 미적 감각과 기술을 보여주는 독창적인 도자기로 평가받는다.
분청사기의 특징으로는 다양한 장식 기법을 들 수 있다. 인화(印花), 조화(彫花), 상감(象嵌), 덤벙 기법 등 다채로운 기법이 사용되었으며, 이는 자유롭고 역동적인 조선 초기의 사회상을 반영한다고 해석된다. 또한, 다양한 형태의 용기들이 제작되었는데, 일상생활 용기뿐 아니라 품격 있는 술잔이나 향로 등도 제작되었다. 분청사기는 생산 지역에 따라, 또는 시대에 따라 그 특징이 다르게 나타나기도 한다.
분청사기의 제작은 주로 전국 각지의 가마에서 이루어졌으며, 강진, 광주, 충청도 지역 등이 주요 산지로 알려져 있다. 분청사기의 생산은 16세기 중엽 이후 조선 후기의 백자 생산이 본격화되면서 점차 감소하였다. 그러나 분청사기는 한국 도자기 역사에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며, 그 독창적인 미적 가치와 기술적 측면에서 높이 평가받고 있다. 현재 다수의 분청사기가 국내외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으며,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그 역사적, 미술사적 가치가 재조명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