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21,778건

백척간두

백척간두(百尺竿頭)는 백 척 높이의 장대 위에 섰다는 뜻으로, 몹시 어렵고 위태로운 지경에 빠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이다. 더 나아가서는, 이미 극한에 다다른 상황에서 더욱 분발하여 나아감을 뜻하기도 한다.

어원 및 유래

백척간두는 불교 선종(禪宗)의 수행 과정에서 유래한 표현으로 알려져 있다. 선 수행자가 깨달음을 얻기 위해 수행하는 과정을 높은 장대 위에 서 있는 상황에 비유하여, 극도의 긴장과 집중을 요구하는 상황을 나타낸다. 이 상황에서 한 발 더 나아가기 위해서는 더욱 강력한 의지와 노력이 필요하다.

의미

  • 위태로운 상황: 백척간두는 몹시 어렵고 위험한 상황을 나타내는 대표적인 표현이다. 조금만 실수해도 떨어져 다칠 수 있는 상황처럼, 위태로운 상태를 비유적으로 보여준다.
  • 극복의 필요성: 단순히 위험한 상황을 묘사하는 데 그치지 않고, 이를 극복하고 한 단계 더 나아가야 함을 강조한다. 극한의 상황에서도 포기하지 않고 정진하는 자세를 중요하게 여긴다.
  • 정진의 독려: 이미 최고의 경지에 이르렀다고 자만하지 않고, 끊임없이 노력하고 발전해야 함을 의미한다. 백척간두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는 것은 곧 끊임없는 자기 혁신을 의미한다.

활용

백척간두는 개인의 노력뿐만 아니라 사회적 위기 상황을 묘사할 때도 자주 사용된다. 경제 위기, 정치적 혼란, 자연재해 등 극복하기 어려운 상황에 직면했을 때, 이를 백척간두에 비유하여 상황의 심각성을 강조하고, 극복을 위한 노력을 촉구하는 데 활용된다.

유사한 표현

  • 풍전등화(風前燈火): 바람 앞의 등불처럼 매우 위태로운 상황을 비유하는 말
  • 누란지위(累卵之危): 쌓아 놓은 알처럼 매우 불안하고 위태로운 상황을 비유하는 말
  • 초미지급(焦眉之急): 눈썹에 불이 붙은 것처럼 매우 급박한 상황을 비유하는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