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리대
분리대는 도로, 인도, 자전거 도로 등 다양한 공간에서 서로 다른 영역을 구분하고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설치되는 구조물이다. 물리적인 장벽 역할을 수행하여 차량, 보행자, 자전거 등의 통행을 분리하고 충돌 사고를 예방하는 데 기여한다.
기능 및 목적
분리대는 다음과 같은 주요 기능과 목적을 수행한다.
- 교통 흐름 분리: 서로 다른 종류의 교통 수단(예: 차량과 보행자) 또는 동일 종류의 교통 수단이라도 방향별로 분리하여 교통 흐름을 원활하게 한다.
- 안전 증진: 차량의 중앙선 침범, 보행자의 무단 횡단 등을 방지하여 교통 사고 발생 위험을 감소시킨다. 특히 보행자 안전을 확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 공간 분할: 도로, 인도, 자전거 도로 등 서로 다른 용도의 공간을 명확하게 구분하여 이용자의 편의성을 높인다.
- 미관 개선: 디자인 요소를 가미한 분리대는 도시 경관을 개선하는 효과도 있다. 식물을 심어 녹지 공간을 확보하는 경우도 있다.
종류
분리대는 재료, 형태, 설치 위치 등에 따라 다양한 종류로 나뉜다.
- 재료: 콘크리트, 플라스틱, 금속(강철, 알루미늄 등), 고무 등 다양한 재료가 사용된다. 콘크리트 분리대는 내구성이 뛰어나고, 플라스틱 분리대는 가볍고 설치가 용이하며, 금속 분리대는 디자인적으로 다양성을 추구할 수 있다.
- 형태: 중앙분리대, 연석, 볼라드, 가드레일 등 다양한 형태가 있다. 중앙분리대는 도로 중앙에 설치되어 차량의 중앙선 침범을 방지하고, 연석은 인도와 차도를 구분하며, 볼라드는 보행자 안전을 위해 설치되는 짧은 기둥 형태의 구조물이다. 가드레일은 차량이 도로 밖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 설치 위치: 도로 중앙, 도로 가장자리, 인도, 자전거 도로 등 다양한 위치에 설치된다. 설치 위치에 따라 분리대의 형태와 크기가 달라진다.
관련 법규
분리대 설치 및 관리에 대한 법규는 국가 및 지역에 따라 다르다. 일반적으로 도로교통법, 건설 관련 법규 등에 관련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안전 기준, 설치 간격, 재료 규격 등이 법규에 명시되어 있으며, 이러한 기준을 준수하여 분리대를 설치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