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45,980건

무르리 폭설

무르리 폭설은 대한민국 강원도 영동 지방에서 겨울철에 발생하는 특수한 형태의 폭설 현상을 지칭한다. 이 폭설은 동해에서 불어오는 습한 바람이 태백산맥을 넘으면서 지형성 강설로 변하여 내리는 것이 특징이다.

특징

  • 지형성 강설: 동해에서 불어오는 습한 바람이 태백산맥에 부딪혀 상승하면서 냉각되어 눈구름이 생성되고, 이 구름에서 많은 양의 눈이 내린다.
  • 국지성 강설: 주로 태백산맥 동쪽 사면에 집중적으로 발생하며, 강원도 영동 지역, 특히 산간 지역에 많은 눈이 내린다.
  • 높은 습도: 습기를 많이 머금은 눈이 내리기 때문에, 적설량이 많고 습설의 형태를 띠는 경우가 많다.
  • 잦은 발생: 매년 겨울철에 반복적으로 발생하며, 때로는 교통 두절, 시설물 피해 등 심각한 재해를 초래하기도 한다.

원인

무르리 폭설의 주요 원인은 다음과 같다.

  • 동해의 습윤한 공기: 겨울철 동해는 상대적으로 따뜻한 해수면 온도를 유지하여 많은 수증기를 발생시킨다. 이 습한 공기가 폭설의 원료가 된다.
  • 태백산맥의 지형: 태백산맥은 습한 공기를 강제로 상승시켜 냉각시키고, 구름 형성을 촉진하는 역할을 한다.
  • 북서 계절풍: 겨울철 강하게 불어오는 북서 계절풍은 동해의 습한 공기를 태백산맥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영향

무르리 폭설은 긍정적인 영향과 부정적인 영향을 모두 미친다.

  • 긍정적 영향: 겨울철 관광 자원으로서 활용될 수 있으며, 스키장 등 겨울 스포츠 산업 발전에 기여한다.
  • 부정적 영향: 교통 두절, 시설물 붕괴, 농작물 피해, 인명 피해 등 심각한 재해를 초래할 수 있다.

대처

무르리 폭설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노력이 필요하다.

  • 기상 예보 강화: 정확한 기상 예보를 통해 폭설 발생 가능성을 사전에 예측하고 대비해야 한다.
  • 제설 대책 강화: 제설 장비 확보 및 제설 작업 체계 구축을 통해 신속하게 제설 작업을 실시해야 한다.
  • 시설물 안전 점검: 폭설에 취약한 시설물에 대한 안전 점검을 실시하고, 보강 작업을 실시해야 한다.
  • 주민 행동 요령 교육: 폭설 발생 시 주민들이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행동 요령을 교육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