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아스식
리아스식 해안은 빙기 후 해수면 상승으로 인해 침수된 골짜기 해안을 일컫는 지형 용어이다. 빙하의 침식 작용이나 지반의 침강, 해수면 상승 등의 요인으로 형성되며, 복잡하고 굴곡이 심한 해안선을 특징으로 한다.
특징
- 굴곡진 해안선: 산맥이나 구릉지가 바다에 잠기면서 복잡하고 불규칙한 해안선을 형성한다.
- 만(灣)과 갑(岬)의 발달: 좁고 긴 만과 돌출된 갑이 반복적으로 나타나 해안선의 굴곡을 심화시킨다.
- 섬의 존재: 산의 봉우리가 해수면 위로 솟아올라 섬을 형성하는 경우가 많다.
- 깊은 수심: 침수된 골짜기이기 때문에 비교적 수심이 깊어 항구 건설에 유리하다.
형성 과정
- 육지 침식: 하천이나 빙하의 침식 작용으로 골짜기가 형성된다.
- 해수면 상승: 빙기 후 해빙으로 인해 해수면이 상승하거나, 지반이 침강한다.
- 골짜기 침수: 상승한 해수면이 골짜기를 따라 침수되면서 복잡한 리아스식 해안이 형성된다.
분포 지역
대표적인 리아스식 해안은 다음과 같다.
- 유럽: 스페인 북서부 갈리시아 지방, 아일랜드 남서부, 크로아티아 달마티아 해안
- 아시아: 한국 서남해안, 일본 남부 해안, 중국 동남 해안
- 아메리카: 미국 북서부 태평양 연안, 칠레 남부 해안
활용
리아스식 해안은 자연 경관이 아름답고 수심이 깊어 항구, 양식업, 관광 산업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된다. 특히, 복잡한 해안선은 파도의 영향을 줄여 어선 정박에 유리하며, 다양한 해양 생물의 서식처를 제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