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79,664건

테니스 포 투

테니스 포 투 (Tennis for Two)는 1958년 미국의 물리학자 윌리엄 히긴보텀(William Higinbotham)이 브룩헤이븐 국립 연구소에서 오실로스코프를 사용하여 만든 아날로그 컴퓨터 게임이다. 2인용 게임으로, 옆에서 바라보는 시점에서 네트를 사이에 두고 두 명의 플레이어가 다이얼을 돌려 각도를 조절하고 버튼을 눌러 가상의 테니스 공을 쳐서 상대방 코트로 넘기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개요

히긴보텀은 브룩헤이븐 국립 연구소의 방문객들을 위한 전시물을 만들고자 했으며, 당시 상대적으로 새로운 기술이었던 아날로그 컴퓨터를 활용하여 인터랙티브한 오락거리를 만들고자 했다. 그는 오실로스코프를 디스플레이 장치로 사용하고, 저항기, 커패시터, 릴레이 등을 사용하여 게임 시스템을 구축했다. 게임은 테니스 코트를 단순화한 형태로 표현되었으며, 공의 궤적은 중력과 운동량의 영향을 받아 자연스럽게 묘사되었다.

역사적 의의

"테니스 포 투"는 비디오 게임의 역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최초의 비디오 게임 중 하나로 여겨지며, 특히 오실로스코프를 디스플레이 장치로 사용하고 인터랙티브한 게임플레이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혁신적이었다. 이 게임은 이후 비디오 게임 개발에 영감을 주었으며, "퐁(Pong)"과 같은 초기 아케이드 게임의 선구자 역할을 했다. 하지만 "테니스 포 투"는 특허를 받지 못했고 상업적으로 생산되지 않았기 때문에, 비디오 게임 산업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못했다.

기술적 특징

"테니스 포 투"는 아날로그 컴퓨터 회로를 기반으로 작동한다. 플레이어는 다이얼을 돌려 공의 각도를 조절하고, 버튼을 눌러 공을 친다. 회로는 공의 궤적을 계산하고 오실로스코프 화면에 표시한다. 게임은 매우 단순하지만, 실시간으로 상호작용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당시로서는 획기적인 기술이었다.

참고 문헌

  • Poole, Steven. Trigger Happy: The Inner Life of Videogames. Arcade Publishing, 2000.
  • Smith, Alexander. They Create Worlds: The Story of the People and Companies That Shaped the Video Game Industry - Vol. 1: 1971 - 1982. CRC Press, 2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