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길
철길은 열차가 운행할 수 있도록 궤도를 구성하는 시설을 총칭하는 말이다. 철로라고도 불리며, 일반적으로 두 줄의 레일과 이를 지지하는 침목, 그리고 침목을 고정하고 하중을 분산시키는 도상(자갈)으로 구성된다. 더 넓은 의미로는 열차의 안전하고 효율적인 운행을 위한 신호, 통신, 건널목 등의 부대 시설까지 포함한다.
구성 요소:
-
레일 (Rail): 열차의 바퀴가 직접 닿는 부분으로, 열차의 하중을 지지하고 진행 방향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강철로 만들어지며, 단면의 모양과 무게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존재한다.
-
침목 (Sleeper): 레일을 일정한 간격으로 지지하고 레일로부터 전달받은 하중을 도상에 분산시키는 역할을 한다. 과거에는 목재 침목이 주로 사용되었으나, 최근에는 콘크리트 침목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합성수지 침목도 사용된다.
-
도상 (Ballast): 침목 아래에 깔린 자갈층으로, 침목으로부터 전달받은 하중을 넓게 분산시키고 궤도의 탄성을 유지하며, 배수 역할을 수행한다.
-
체결구 (Fastening System): 레일과 침목을 연결하여 레일이 제 위치에 있도록 고정하는 장치이다. 클립, 볼트, 너트 등으로 구성된다.
역할 및 기능:
- 안전한 운행: 열차가 안정적으로 운행할 수 있는 경로를 제공하고 탈선을 방지한다.
- 하중 지지: 열차의 무거운 하중을 지지하고 지반에 분산시켜 궤도의 변형을 방지한다.
- 진동 흡수: 열차 운행 시 발생하는 진동을 흡수하여 궤도의 손상을 줄이고 승차감을 향상시킨다.
- 전기 회로 구성: 전기철도의 경우, 레일은 전력 회로의 일부로 사용되어 전기를 공급하고 회수하는 역할을 한다.
관련 용어:
- 궤간 (Track Gauge): 두 레일 사이의 거리로, 국가 또는 지역에 따라 표준궤, 광궤, 협궤 등 다양한 종류가 있다.
- 선로 (Railway Track): 열차가 실제로 운행하는 경로를 의미하며, 철길과 그 주변 시설을 포함한다.
참고 문헌:
- 철도 관련 서적 및 논문
- 국가철도공단 홈페이지
- 한국철도학회 학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