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30,727건

전횡

전횡은 권력을 가진 자가 법과 질서를 무시하고 제멋대로 권력을 휘두르는 행위를 의미한다. 주로 공적인 권력을 사적인 이익을 위해 남용하거나, 독단적인 결정을 통해 사회 전체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경우를 지칭한다.

어원

'전횡'은 '專橫'이라는 한자어에서 유래되었다. 여기서 '專'은 '오로지 전'으로, 독점하거나 제멋대로 한다는 의미를 내포하며, '橫'은 '가로 횡'으로, 법도나 이치를 따르지 않고 비뚤어지게 행동함을 의미한다. 따라서 전횡은 권력을 독점하여 제멋대로 행동하는 모습을 형상화한 단어라고 할 수 있다.

특징

전횡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진다.

  • 권력 남용: 주어진 권한을 정당한 목적이 아닌 사적인 이익을 위해 사용한다.
  • 법과 질서 무시: 법률이나 규정을 무시하고 자신의 뜻대로 일을 처리한다.
  • 독단적인 결정: 다른 사람의 의견을 수렴하지 않고 혼자서 모든 것을 결정한다.
  • 불공정한 결과: 공정성과 형평성에 어긋나는 결과를 초래하여 사회적 불만을 야기한다.
  • 책임 회피: 자신의 행동에 대한 책임을 지지 않으려 하거나 책임을 다른 사람에게 전가한다.

사례

역사적으로 전횡은 다양한 형태로 나타났다. 과거에는 왕이나 귀족이 자신의 권력을 이용하여 백성을 착취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현대 사회에서는 기업의 총수나 고위 공직자가 권력을 남용하여 부당한 이익을 취하는 사례가 발생하기도 한다. 또한, 정치 권력이 언론을 통제하거나 사법부를 압박하는 행위 역시 전횡의 한 형태로 볼 수 있다.

문제점 및 해결 방안

전횡은 사회 전체의 공정성을 해치고, 사회 구성원 간의 신뢰를 떨어뜨리는 심각한 문제점을 야기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노력이 필요하다.

  • 법치주의 확립: 법과 원칙에 따른 공정한 사회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
  • 견제와 균형: 권력 분산을 통해 권력 남용을 방지해야 한다.
  • 투명성 강화: 의사 결정 과정의 투명성을 확보하여 부패를 예방해야 한다.
  • 책임 소재 명확화: 권력 남용에 대한 책임을 명확히 규정하고 처벌해야 한다.
  • 시민 의식 함양: 시민들의 비판적 사고 능력과 적극적인 참여를 통해 권력에 대한 감시를 강화해야 한다.

관련 용어

  • 독재
  • 권력 남용
  • 갑질
  • 횡포
  • 패권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