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산벌 전투
황산벌 전투는 660년 나당 연합군의 백제 침공 당시, 백제의 계백이 이끄는 군대와 신라의 김유신이 이끄는 군대 사이에 황산벌(현재의 충청남도 논산시 부근)에서 벌어진 전투이다. 이 전투는 백제 멸망 직전에 벌어진 마지막 대규모 항전 중 하나이며, 백제 멸망의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다.
배경 660년, 신라와 당나라는 연합하여 백제를 침공하기로 결정했다. 당나라의 소정방은 수군 13만 명을 이끌고 백강(금강)으로 향했고, 신라의 김유신은 약 5만 명의 병력을 이끌고 백제의 수도 사비성(현재의 충청남도 부여)을 향해 육로로 진격했다. 백제는 예상치 못한 대규모 공격에 당황했으며, 의자왕은 계백에게 결사대 5천 명을 주어 신라군을 막게 했다.
경과 계백은 수적으로 압도적인 신라군에 맞서 황산벌에 진을 치고 방어선을 구축했다. 그는 병사들에게 죽음을 각오한 싸움을 독려하기 위해 전투에 앞서 자신의 가족을 직접 죽였다고 전해진다. 계백이 이끄는 백제군은 지형을 이용하고 필사적으로 항전하여 신라군의 초기 공격을 네 차례나 격퇴하며 큰 피해를 입혔다. 신라군은 거듭된 실패에 잠시 사기가 저하되기도 했으나, 신라의 화랑인 반굴과 관창이 차례로 백제군 진영으로 돌진하여 전사하는 용맹을 보여주며 신라군의 사기를 크게 북돋웠다. 김유신은 전열을 재정비하여 총공격을 감행했고, 결국 수적 열세를 극복하지 못한 백제군은 궤멸되었다. 계백 또한 용감히 싸우다 전사했다.
결과 및 영향 황산벌 전투에서의 백제군 패배는 사비성으로 향하는 신라군의 진격을 막을 마지막 방어선이 무너졌음을 의미했다. 신라군은 곧바로 백강에 도착한 당군과 합류하여 사비성을 포위 공격했고, 같은 해 7월(음력)에 사비성이 함락되면서 백제는 멸망했다. 황산벌 전투는 백제 멸망 직전의 마지막 불꽃 같은 항전이었으며, 계백의 충성심과 용맹이 부각되는 역사적인 사건으로 기억되고 있다. 이 전투는 삼국통일 전쟁의 중요한 분기점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
의의 이 전투는 수적 열세에도 불구하고 나라를 지키려 했던 백제 장수 계백과 병사들의 결사 항전이 돋보이는 전투이다. 또한 신라가 삼국통일을 이루는 과정에서 백제를 멸망시키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 전투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