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급
학급은 학교 교육에서 학생들을 효율적으로 지도하고 관리하기 위해 편성하는 집단이다. 일반적으로 동일 학년의 학생들이 교사의 지도하에 일정한 교육 과정을 이수하는 단위를 의미한다. 학급은 학생들의 학습 공동체이자 사회성 발달의 장으로서 기능한다.
편성 기준:
- 학년: 통상적으로 같은 학년의 학생들로 구성된다. 다만, 학생 수 부족 등의 특수한 경우에는 복식 학급 형태로 운영되기도 한다.
- 학생 수: 학급당 학생 수는 국가 및 지역의 교육 정책, 학교의 여건 등에 따라 달라진다. 과밀 학급 해소를 위한 노력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 능력별 편성: 과거에는 학력 수준에 따라 학급을 편성하는 경우가 있었으나, 현재는 학생 간 차별을 야기한다는 비판에 따라 지양되는 추세이다. 다만, 특정 교과의 심화 학습을 위한 수준별 수업은 여전히 운영될 수 있다.
역할 및 기능:
- 학습 지도: 교사는 학급 학생들에게 교과 내용을 가르치고 학습 활동을 지원한다.
- 생활 지도: 교사는 학생들의 학교생활 적응을 돕고, 문제 행동을 예방하며, 긍정적인 인성 함양을 지도한다.
- 자치 활동: 학생들은 학급 회의 등을 통해 학급 운영에 참여하고 자치 능력을 기른다.
- 사회성 발달: 학생들은 학급 내에서 다양한 관계를 맺고 소통하며 사회성을 함양한다.
- 평가: 교사는 학급 학생들의 학업 성취도 및 성장 과정을 평가하고 피드백을 제공한다.
관련 용어:
- 담임 교사: 학급의 전반적인 운영과 학생 지도를 담당하는 교사.
- 학급 회의: 학급 구성원들이 모여 학급 운영에 관한 사항을 논의하고 결정하는 회의.
- 학급 문집: 학급 학생들이 함께 만든 글, 그림 등을 모아 엮은 책.
- 특별활동: 학급 학생들이 교과 외 활동을 통해 특기 적성을 계발하고 협동심을 함양하는 활동.
참고 문헌:
- 교육기본법
- 초·중등교육법
- 각 시·도 교육청 학급 편성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