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스계
모스계 (Mohs scale)는 광물의 굳기를 상대적으로 나타내는 척도이다. 독일의 광물학자 프리드리히 모스(Friedrich Mohs)가 1812년에 제안했으며, 긁힘에 대한 저항성을 기준으로 1부터 10까지의 숫자로 광물의 굳기를 나타낸다.
모스계는 절대적인 굳기를 나타내는 것은 아니며, 단지 상대적인 비교를 위한 척도이다. 예를 들어, 굳기 2의 광물은 굳기 1의 광물을 긁을 수 있지만, 굳기 3의 광물에 의해 긁힌다. 각 숫자 간의 굳기 차이는 일정하지 않으며, 특히 다이아몬드(굳기 10)는 코런덤(굳기 9)보다 훨씬 더 단단하다.
모스 굳기계의 표준 광물:
굳기 | 광물 | 화학식 | 비고 |
---|---|---|---|
1 | 활석 (滑石) | Mg3Si4O10(OH)2 | 손톱으로 긁힘. |
2 | 석고 (石膏) | CaSO4·2H2O | 손톱으로 긁힘. |
3 | 방해석 (方解石) | CaCO3 | 구리 동전으로 긁힘. |
4 | 형석 (螢石) | CaF2 | 칼로 긁힘. |
5 | 인회석 (燐灰石) | Ca5(PO4)3(OH,Cl,F) | 칼로 긁힘. |
6 | 정장석 (正長石) | KAlSi3O8 | 강철 줄로 긁힘. |
7 | 석영 (石英) | SiO2 | 강철 줄로 긁히지 않음. |
8 | 황옥 (黃玉) | Al2SiO4(OH,F)2 | |
9 | 강옥 (鋼玉) | Al2O3 | |
10 | 금강석 (金剛石) | C |
모스계는 현장에서 광물을 식별하는 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알 수 없는 광물이 손톱으로 긁힌다면 굳기가 2 이하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모스계는 연마재의 선택이나 석재 가공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도 활용된다.
같이 보기:
- 굳기
- 광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