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31,014건

조영제

조영제(contrast medium)는 인체 내부의 특정 조직이나 혈관, 장기 등을 X선, CT, MRI, 초음파 등의 영상 진단 장비를 이용하여 촬영할 때, 해당 부위의 대조도를 높여 더욱 선명하게 보이도록 하는 약물이다. 조영제를 사용함으로써 병변의 존재 유무, 위치, 크기, 형태 등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질병의 진단 및 치료 계획 수립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종류

조영제는 사용되는 영상 진단 장비 및 성분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될 수 있다.

  • X선 조영제: 요오드 성분을 함유한 조영제가 주로 사용되며, 혈관, 위장관, 비뇨기계 등을 촬영할 때 사용된다.
  • CT 조영제: X선 조영제와 유사한 요오드 성분 조영제가 주로 사용되지만, 고농도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 MRI 조영제: 가돌리늄(Gadolinium) 성분 조영제가 주로 사용되며, 뇌, 척수, 간 등의 연부 조직을 촬영할 때 사용된다.
  • 초음파 조영제: 미세 기포(microbubble)를 함유한 조영제가 사용되며, 혈류를 증가시키거나 혈관을 더욱 잘 보이게 한다.

투여 방법

조영제는 경구 투여, 정맥 주사, 동맥 주사, 척수강 내 주입 등 다양한 방법으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 방법은 검사 목적 및 조영제의 종류에 따라 결정된다.

부작용

조영제 투여 시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 부작용은 경미한 구토, 가려움증, 발진부터 심각한 아나필락시스 쇼크까지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다. 특히, 요오드 조영제에 대한 알레르기 병력이 있거나 신장 기능이 저하된 환자는 조영제 투여 시 주의해야 한다. 조영제 투여 전에는 반드시 의료진에게 알레르기 병력 및 기저 질환을 알리고, 투여 후에는 이상 반응이 나타나는지 주의 깊게 관찰해야 한다.

주의사항

조영제는 전문의의 처방 및 감독 하에 사용되어야 한다. 임산부나 수유부의 경우, 조영제 투여의 필요성을 신중하게 고려해야 하며, 투여 후 충분한 수분 섭취를 통해 조영제 배출을 돕는 것이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