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21,099건

정악

정악(正樂)은 한국 전통 음악의 한 갈래로, 아악(雅樂)과 당악(唐樂), 그리고 향악(鄕樂) 중 격조 높은 음악을 포괄하는 개념입니다. 흔히 민속악에 대비되는 용어로 사용되며, 궁중 음악과 양반 계층에서 향유하던 풍류 음악을 아우릅니다.

개념 및 특징:

  • 격조와 품격: 정악은 기교를 과시하기보다는 절제된 감정과 깊이 있는 표현을 중시하며, 음악적 완성도와 정신적인 수양을 목표로 합니다.
  • 느린 속도: 대부분의 정악곡은 매우 느린 속도로 연주되며, 이는 연주자와 감상자 모두에게 여유로운 마음으로 음악을 음미할 수 있는 시간을 제공합니다.
  • 다양한 악기 편성: 정악은 관악기와 현악기, 타악기가 어우러진 합주 형태로 연주되는 경우가 많으며, 각 악기의 음색과 조화를 통해 깊이 있는 음악적 경험을 선사합니다.
  • 주요 장르: 정악의 대표적인 장르로는 아악(문묘제례악, 종묘제례악 등), 당악(보허자, 낙양춘 등), 향악(영산회상, 천년만세 등)이 있습니다.
  • 전승: 정악은 궁중 음악 기관인 장악원과 이후 국립국악원을 통해 전승되어 왔으며, 현재는 중요무형문화재로 지정되어 보존 및 전승 활동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역사:

정악의 역사는 삼국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갈 수 있으며, 고려시대와 조선시대를 거치면서 궁중 음악으로 발전했습니다. 특히 조선시대에는 예악사상을 바탕으로 정악이 국가의 중요한 의례 음악으로 자리매김했으며, 양반 계층에서도 풍류 음악으로 향유되었습니다.

참고 문헌:

  • 한국음악사학회 (編), 『한국음악통론』, 세광음악출판사, 2007.
  • 국립국악원, 『국악개론』, 민속원,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