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31,009건

무아

무아(無我)는 불교 용어로, '나'라고 할 만한 고정불변의 실체가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아트만(ātman)' 또는 '자아(自我)'의 부정을 뜻하며, 모든 존재는 끊임없이 변화하는 과정 속에 있으며, 독립적이고 영원한 실체로서의 '나'는 존재하지 않는다는 불교의 핵심 교리 중 하나이다.

개념

무아는 자아에 대한 집착(아집, 我執)을 버리고 모든 존재의 상호 의존성을 깨달음으로써 고통에서 벗어날 수 있다는 가르침과 연결된다. 십이연기설에서는 무명이 행을 일으키고, 행이 식을 일으키는 과정에서 자아에 대한 그릇된 인식(아상, 我相)이 고통의 원인이 된다고 본다. 따라서 무아를 이해하고 실천하는 것은 고통의 근원을 제거하고 열반에 이르는 중요한 방법으로 여겨진다.

관련 용어

  • 오온(五蘊): 색(色), 수(受), 상(想), 행(行), 식(識)으로 이루어진 인간 존재의 구성 요소. 불교에서는 오온이 모여 일시적인 '나'를 형성하지만, 이는 고정된 실체가 아니라고 본다.
  • 연기(緣起): 모든 존재는 다른 존재와의 관계 속에서 존재하며, 원인과 결과에 따라 끊임없이 변화한다는 법칙. 무아는 연기적 세계관의 핵심적인 요소이다.
  • 공(空): 모든 현상은 고정된 실체가 없이 상호 의존적으로 존재한다는 개념. 무아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으며, 모든 존재의 본질적인 속성으로 여겨진다.
  • 해탈(解脫): 자아에 대한 집착에서 벗어나 자유로워지는 상태. 무아를 깨달음으로써 해탈에 이를 수 있다.

참고 문헌

  • 불교 관련 서적 및 논문
  • 불교 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