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상
창상 (創傷, wound)은 외부의 물리적 힘에 의해 피부나 점막 등 생체 조직이 손상되어 생긴 상처를 의미한다. 넓은 의미로는 외부적인 요인뿐 아니라 내부적인 요인에 의해 발생한 조직의 손상까지 포함하기도 하지만, 일반적으로는 외력에 의한 손상을 지칭하는 경우가 많다. 창상은 그 원인, 깊이, 형태, 감염 여부 등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되며, 이에 따라 치료 방법 또한 달라진다.
분류
- 원인에 따른 분류:
- 절상 (incised wound): 날카로운 물체(칼, 유리 등)에 의해 베인 상처. 비교적 깔끔한 모양을 가지며 출혈이 심할 수 있다.
- 자상 (stab wound): 뾰족한 물체(못, 송곳 등)에 의해 찔린 상처. 깊이가 깊고 내부 장기 손상을 동반할 수 있다.
- 찰과상 (abrasion): 피부 표면이 쓸리거나 긁힌 상처. 출혈은 적지만 감염의 위험이 있다.
- 열상 (laceration): 둔탁한 물체에 의해 찢어진 상처. 조직 손상이 심하고 불규칙한 모양을 가진다.
- 좌상 (contusion): 둔탁한 힘에 의해 피부 아래 조직이 손상된 상처. 멍이 들거나 부어오를 수 있다.
- 관통상 (penetrating wound): 물체가 피부를 뚫고 몸 안으로 들어간 상처. 내부 장기 손상 위험이 높다.
- 화상 (burn): 열, 화학 물질, 방사선 등에 의해 피부가 손상된 상처.
- 깊이에 따른 분류:
- 표피 창상: 표피층에만 손상이 있는 상처.
- 진피 창상: 진피층까지 손상이 있는 상처.
- 피하 창상: 피하 조직까지 손상이 있는 상처.
- 근육 창상: 근육까지 손상이 있는 상처.
- 골 창상: 뼈까지 손상이 있는 상처.
- 감염 여부에 따른 분류:
- 오염된 창상 (contaminated wound): 세균에 오염되었으나 감염 징후는 없는 상처.
- 감염된 창상 (infected wound): 세균 감염으로 인해 발적, 부종, 통증, 열감 등의 증상이 나타나는 상처.
치료
창상의 치료는 상처의 종류, 깊이, 감염 여부 등에 따라 달라진다. 기본적인 치료는 다음과 같다.
- 지혈: 출혈이 있는 경우 깨끗한 거즈 등으로 상처 부위를 압박하여 지혈한다.
- 소독: 상처 부위를 생리식염수나 소독약으로 깨끗하게 세척한다.
- 드레싱: 상처 부위를 드레싱하여 외부 오염으로부터 보호하고 습윤 환경을 유지한다.
- 봉합: 깊거나 벌어진 상처의 경우 봉합이 필요할 수 있다.
- 항생제 치료: 감염된 창상의 경우 항생제 연고나 경구 항생제를 복용해야 할 수 있다.
주의 사항
창상 발생 시 감염 예방이 중요하며, 필요에 따라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적절한 치료를 받아야 한다. 특히, 깊은 상처, 출혈이 심한 상처, 감염된 상처, 동물에게 물린 상처 등은 반드시 전문가의 진료를 받아야 한다. 파상풍 예방접종 여부를 확인하고, 필요에 따라 추가 접종을 받는 것이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