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38,181건

사산

사산(死産, stillbirth)은 태아가 임신 중 일정 시점(일반적으로 20주 또는 28주 이후)에 자궁 내에서 사망한 상태로 분만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유산(流産, miscarriage)과는 구분되는데, 유산은 일반적으로 임신 초기(보통 20주 이전)에 태아가 사망하거나 임신이 중단되는 경우를 말한다. 사산은 산모와 가족에게 깊은 슬픔과 정신적 고통을 안겨주는 사건이며, 의학적으로도 원인 규명과 재발 방지를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정의

사산의 정확한 정의는 국가나 기관에 따라 다를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임신 20주 이후 또는 태아의 체중이 350g 이상일 때 자궁 내에서 사망한 채로 출생하는 경우를 지칭한다. 세계보건기구(WHO)는 임신 28주 이후의 태아 사망을 사산으로 정의하기도 한다. 유산이 임신 초기의 자연적인 임신 중단을 포괄하는 넓은 개념이라면, 사산은 임신 중기 이후의 태아 사망을 의미한다.

원인

사산의 원인은 매우 다양하며, 때로는 원인을 찾지 못하는 경우도 많다. 주요 원인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 모체 요인: 임신 중 고혈압(임신중독증), 당뇨병, 감염(풍진, 거대세포바이러스 등), 갑상선 질환, 혈전성향 등 산모의 기존 질환이나 임신 중 발생한 건강 문제가 사산의 위험을 높일 수 있다.
  • 태아 요인: 염색체 이상, 선천성 구조적 결함, 태아 성장 지연, 태아 감염 등이 원인이 될 수 있다.
  • 태반 및 탯줄 요인: 태반 조기 박리, 태반 기능 부전, 전치태반, 탯줄의 꼬임이나 압박 등이 태아에게 산소 및 영양 공급에 문제를 일으켜 사산을 유발할 수 있다.
  • 기타 요인: 외부 충격이나 외상, 특정 약물 복용, 흡연 및 음주 등도 사산의 위험 요인이 될 수 있다.

의학적 및 심리적 영향

사산은 산모에게 분만 과정의 어려움뿐만 아니라 출산 후 회복 과정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정신적으로는 극심한 슬픔, 죄책감, 불안, 우울증 등을 유발할 수 있으며, 가족 전체에게 큰 충격을 준다. 사산 이후에는 원인 규명을 위한 검사(염색체 검사, 태반 검사 등)가 진행되는 경우가 많으며, 다음 임신 계획 시 전문가와의 상담을 통해 위험 요인을 관리하고 재발을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다.

같이 보기

  • 유산
  • 분만
  • 임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