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29,348건

지주막하

지주막하 (蜘蛛膜下, subarachnoid space)는 뇌와 척수를 둘러싸고 있는 세 층의 뇌수막 중 중간층인 지주막과 가장 안쪽 층인 연질막 사이의 공간을 말합니다. 이 공간은 뇌척수액(cerebrospinal fluid, CSF)으로 채워져 있으며, 뇌와 척수에 영양을 공급하고 노폐물을 제거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또한, 뇌혈관, 특히 주요 동맥들이 지주막하 공간을 지나가기 때문에 뇌혈관 질환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구조 및 기능

지주막하는 해부학적으로 비교적 넓은 공간이며, 지주막과 연질막 사이에는 거미줄 모양의 섬유조직(arachnoid trabeculae)이 존재하여 지주막을 연질막에 연결합니다. 이 섬유조직 덕분에 지주막하는 공간을 유지하고 뇌척수액의 흐름을 원활하게 합니다.

지주막하 공간의 주요 기능은 다음과 같습니다:

  • 뇌척수액 순환: 뇌실에서 생성된 뇌척수액은 지주막하 공간을 통해 순환하며, 뇌와 척수에 영양분을 공급하고 노폐물을 운반합니다. 뇌척수액은 결국 지주막 과립을 통해 정맥혈로 흡수됩니다.
  • 뇌 보호: 뇌척수액은 뇌와 척수를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완충 역할을 합니다.
  • 뇌혈관: 뇌의 주요 동맥과 정맥이 지주막하 공간을 지나가므로, 이 공간은 뇌혈액 순환과 관련된 중요한 위치입니다.

임상적 의의

지주막하 공간은 다양한 질환과 관련될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예는 다음과 같습니다:

  • 지주막하 출혈 (Subarachnoid hemorrhage, SAH): 뇌동맥류 파열, 외상 등으로 인해 지주막하 공간에 혈액이 유출되는 질환입니다. 심각한 두통, 의식 저하, 신경학적 이상을 일으킬 수 있으며, 생명을 위협할 수도 있습니다.
  • 뇌수막염 (Meningitis): 세균, 바이러스, 곰팡이 등에 의해 뇌수막에 염증이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지주막하 공간에 염증이 생기면 뇌척수액의 성분이 변화하고 뇌압이 상승할 수 있습니다.
  • 정상압 수두증 (Normal pressure hydrocephalus, NPH): 뇌척수액의 흡수 장애로 인해 뇌실이 확장되고 지주막하 공간의 압력이 정상 범위 내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인지 기능 저하, 보행 장애, 요실금 등의 증상이 나타나는 질환입니다.

지주막하 공간과 관련된 질환은 신경학적 검사, 뇌 영상 검사(CT, MRI), 뇌척수액 검사 등을 통해 진단할 수 있습니다. 치료 방법은 질환의 종류와 심각도에 따라 약물 치료, 수술적 치료 등으로 다양하게 결정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