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79,888건

모르는지

모르는지는 한국어에서 사용되는 부사절을 이끄는 연결 어미 ‘-는지’에 동사 ‘모르다’가 결합하여 만들어진 표현이다. 이는 일반적으로 화자가 어떤 사실이나 상황에 대해 확실하게 알지 못함을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문맥에 따라 의문, 추측, 반문, 또는 놀라움 등의 다양한 뉘앙스를 내포할 수 있다.

의미 및 용법:

  • 불확실성: 화자가 특정 정보나 상황에 대해 알지 못하거나 확신이 없을 때 사용된다. 예를 들어, "그가 언제 도착하는지 모르는지, 연락이 없네."와 같이 사용될 수 있다.

  • 의문: 질문의 형태가 아니더라도, 간접적으로 의문을 나타낼 때 사용될 수 있다. "왜 그런 결정을 내렸는지 모르는지, 이해가 안 된다."와 같이 쓰일 수 있다.

  • 추측: 화자가 어떤 상황에 대해 추측하거나 짐작할 때 사용될 수 있다. "무슨 일이 있었는지 모르는지, 분위기가 이상하다."와 같이 표현할 수 있다.

  • 반문 또는 놀라움: 화자가 어떤 사실에 대해 반문하거나 놀라움을 표현할 때 사용될 수 있다. "그렇게 쉽게 포기할 줄은 모르는지, 실망스럽다."와 같이 쓰일 수 있다.

문법적 특징:

  • ‘-는지’는 동사나 형용사의 어간에 붙어 명사절이나 부사절을 이끄는 역할을 한다.
  • ‘모르는지’는 주로 문장 중간에 위치하여 앞 절의 내용과 뒤 절의 내용을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참고:

‘모르는지’와 유사한 표현으로는 ‘알 수 없는지’, ‘미지수인 듯’, ‘불명확한 것은 아닌지’ 등이 있다. 이러한 표현들은 문맥에 따라 ‘모르는지’를 대체하여 사용할 수 있지만, 뉘앙스 차이가 있을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