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28,121건

면역학

면역학(免疫學, Immunology)은 생체가 외부에서 침입하는 항원(세균, 바이러스, 기생충, 독소 등)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는 메커니즘인 면역(immunity) 현상을 연구하는 생물학 및 의학의 한 분야입니다. 면역계의 구조와 기능, 면역 반응의 원리, 면역 관련 질병의 발병 기전 및 치료법 등을 다룹니다.

주요 연구 분야

면역학은 크게 다음과 같은 분야로 나눌 수 있습니다.

  • 기초 면역학: 면역 세포(림프구, 항원제시세포 등)의 발달, 활성화, 기능 및 면역 분자(항체, 사이토카인, 보체 등)의 구조와 작용 기전을 연구합니다.
  • 임상 면역학: 자가면역질환, 알레르기 질환, 면역결핍증, 이식 면역 등 면역 관련 질병의 진단, 치료 및 예방을 연구합니다.
  • 종양 면역학: 암세포에 대한 면역 반응을 연구하고, 면역 요법을 개발합니다.
  • 감염 면역학: 감염성 질환에 대한 숙주의 면역 반응 및 병원체의 면역 회피 기전을 연구합니다.
  • 백신학: 백신을 개발하고, 백신의 효능 및 안전성을 평가합니다.

면역계의 구성 요소

면역계는 선천성 면역과 적응 면역으로 구성되며, 다양한 세포와 분자들이 상호 작용하며 면역 반응을 조절합니다.

  • 선천성 면역: 태어날 때부터 갖추어진 면역 체계로, 외부 침입자에 대해 즉각적이고 비특이적인 방어 작용을 수행합니다.
  • 적응 면역: 후천적으로 획득되는 면역 체계로, 특정 항원에 대한 특이적인 방어 작용을 수행하며, 면역 기억을 형성합니다.
  • 면역 세포: 림프구(B 세포, T 세포, NK 세포), 항원제시세포(수지상 세포, 대식세포), 과립구(호중구, 호산구, 호염기구) 등이 있습니다.
  • 면역 분자: 항체, 사이토카인, 보체, 케모카인 등이 있습니다.

면역 관련 질병

면역계의 이상은 다양한 질병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 자가면역질환: 자신의 세포나 조직을 공격하는 자가 항체가 생성되어 발생하는 질병 (예: 류마티스 관절염, 루푸스).
  • 알레르기 질환: 특정 항원에 대해 과민 반응을 일으켜 발생하는 질병 (예: 아토피 피부염, 알레르기 비염).
  • 면역결핍증: 면역계의 기능이 저하되어 감염에 취약해지는 질병 (예: AIDS).
  • 이식 거부 반응: 이식된 장기에 대한 면역 반응으로 인해 발생하는 거부 반응.

면역학은 질병 예방 및 치료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암, 감염성 질환, 자가면역질환 등 다양한 질병에 대한 새로운 치료법 개발에 기여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