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29,362건

리디노미네이션

정의

리디노미네이션(redenomination)은 화폐 단위의 숫자를 변경하는 것을 의미한다. 즉, 통화의 명칭이나 표시 단위를 변경하는 것으로, 화폐의 가치 자체를 바꾸는 평가절하 또는 평가절상과는 구분된다. 통상적으로 고액권 화폐의 사용으로 인한 불편함을 해소하고 경제 활동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실시된다. 화폐의 액면가만 변경되기 때문에 물가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특징

  • 화폐 가치 변동 없음: 리디노미네이션은 단순히 화폐 단위의 표시를 바꾸는 것이므로, 화폐의 실질적인 가치는 변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1000원을 1원으로 변경하는 것이 아니라, 1000원을 1,000원으로 변경하는 것과 같다.
  • 경제 효율 증대: 고액권 화폐 사용으로 인한 거래의 불편함을 해소하고 계산의 편의성을 높여 경제 활동의 효율성을 향상시킨다.
  • 심리적 효과: 낮은 액면가의 화폐 사용은 국민들에게 심리적으로 안정감을 줄 수 있다. 특히 고액권 화폐가 만연하여 물가가 높은 것처럼 인식되는 경우, 리디노미네이션은 심리적인 물가 안정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 준비 과정의 중요성: 성공적인 리디노미네이션을 위해서는 충분한 홍보와 교육, 그리고 새로운 화폐의 발행 및 유통 시스템 구축 등 철저한 준비 과정이 필수적이다.

사례

  • 대한민국 (1962년): 환(圜)을 원(圓)으로 변경하고, 100환을 1원으로 하는 리디노미네이션을 실시하였다.
  • 유럽 연합 (2002년): 유로화 도입과 함께 리디노미네이션이 병행되었다.

관련 용어

  • 평가절상: 화폐 가치를 인위적으로 높이는 것.
  • 평가절하: 화폐 가치를 인위적으로 낮추는 것.
  • 통화 개혁: 화폐 제도 전반에 대한 개혁으로, 리디노미네이션을 포함할 수 있지만, 리디노미네이션보다 폭이 넓은 개념이다.

결론

리디노미네이션은 경제 효율성 증대와 국민들의 편의를 위해 실시되는 정책으로, 철저한 준비와 사회적 합의를 통해 성공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단순한 숫자 변경이지만, 사회 전반에 미치는 영향이 크므로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