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라마투르기
드라마투르기 (Dramaturgy)는 연극 또는 드라마 작품의 구성, 구조, 분석, 개발 등과 관련된 이론 및 실제를 의미한다. 또한, 연극 제작 과정에서 드라마투르그(dramaturg)라는 전문 인력이 수행하는 역할을 통칭하기도 한다.
이 용어는 특히 독일 계몽주의 시대의 극작가이자 비평가인 고트홀트 에프라임 레싱(Gotthold Ephraim Lessing)이 그의 저서 《함부르크 드라마투르기》(Hamburgische Dramaturgie)를 통해 연극 비평 및 이론을 정립하면서 확립되었다. 드라마투르기는 단순히 문학적인 분석가를 넘어, 작품이 무대화되는 전 과정에 걸쳐 다양한 역할을 수행한다.
드라마투르그의 주요 역할은 다음과 같다.
- 대본 분석 및 연구: 작품의 역사적, 문화적 배경, 주제, 구조, 인물 등을 깊이 있게 연구하고 관련 자료를 수집한다.
- 작가 협력: 새로운 대본의 개발 과정에 참여하거나 기존 대본의 각색, 수정에 대한 자문을 제공한다.
- 연출 지원: 연출가의 컨셉 이해를 돕고, 작품의 해석과 무대 구현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며, 제작진 간의 소통을 돕는다.
- 관객 소통: 프로그램 노트 작성, 공연 전 강연, 관객과의 대화 등을 통해 관객의 작품 이해를 돕고 접근성을 높인다.
- 레퍼토리 기획: 극장의 예술 감독과 함께 공연 시즌의 작품 선정 및 구성에 참여하기도 한다.
드라마투르기는 작품의 문학적, 역사적, 사회적 맥락을 깊이 이해하고 이를 실제 공연에 효과적으로 연결하여 작품의 완성도를 높이는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