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79,868건

동짓날

동짓날은 24절기 중 스물두 번째 절기인 동지(冬至)에 해당하는 날이다. 양력 12월 21일 또는 22일 경으로, 일 년 중 밤이 가장 길고 낮이 가장 짧은 날이다. 태양의 남중고도가 가장 낮아 1년 중 그림자가 가장 길게 드리워진다.

유래 및 의미

동지는 예로부터 '작은 설'이라 불리며 설날 다음으로 중요한 날로 여겨졌다. 이는 동지를 기점으로 낮의 길이가 다시 길어지기 시작하여 태양이 부활하는 날로 인식했기 때문이다. 음양사상에 따라 음(陰)이 극에 달하고 양(陽)이 다시 시작되는 날로 여겨 새로운 시작과 희망을 상징하기도 한다.

풍습

  • 팥죽: 동짓날에는 팥죽을 끓여 먹는 풍습이 있다. 붉은색의 팥은 액운을 쫓고 귀신을 쫓는다고 믿었기 때문에 집안 곳곳에 뿌리거나 대문, 벽 등에 발라 악귀를 쫓는 풍습이 있었다. 또한, 팥죽을 먹어야 나이를 한 살 더 먹는다는 속설도 있다.
  • 달력 선물: 조선시대에는 동지에 다음 해의 달력을 만들어 선물하는 풍습이 있었다. 동지는 해가 다시 길어지기 시작하는 날이므로 새로운 시작을 축하하는 의미를 담고 있었다.
  • 애동지: 음력 11월 초순에 동지가 들면 '애동지'라 하여 팥죽 대신 팥떡을 해 먹는 풍습도 있다. 이는 어린아이에게 팥의 강한 기운이 해로울 수 있다고 여겼기 때문이다.

현대적 의미

현대에 와서는 전통적인 의미가 많이 퇴색되었지만, 여전히 동짓날 팥죽을 먹는 풍습은 남아있다. 또한, 동지를 맞아 가족과 함께 시간을 보내며 한 해를 마무리하고 새로운 해를 맞이하는 의미를 되새기는 날로 여겨지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