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55,957건

대량응징보복

대량응징보복(Massive Retaliation)은 냉전 시대 미국이 소련의 공격을 억지하기 위해 채택했던 군사 전략이다. 이 전략은 소련이 미국이나 동맹국을 공격할 경우, 핵무기를 포함한 압도적인 규모의 보복 공격을 감행하여 소련을 완전히 파괴할 수 있다는 위협을 통해 공격 자체를 억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개념

대량응징보복 전략은 아이젠하워 행정부 시기에 국무장관이었던 존 포스터 덜레스에 의해 구체화되었다. 덜레스는 "저렴한 핵 억제력"(more bang for the buck)을 추구하며, 재래식 군사력 증강 대신 핵무기에 대한 의존도를 높이는 정책을 추진했다. 이는 한국 전쟁과 같은 재래식 전쟁에 대한 미국의 부담을 줄이고, 소련의 위협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방안으로 제시되었다.

대량응징보복은 소련의 어떠한 공격에도 핵무기를 사용하여 응징할 수 있다는 의지를 보여줌으로써 소련의 공격 의지를 꺾는 데 주력했다. 그러나 이 전략은 '모든 공격에 핵으로 대응한다'는 점에서 유연성이 부족하다는 비판을 받았다. 경미한 도발이나 재래식 공격에도 핵무기를 사용할 경우, 핵전쟁으로 확전될 위험이 있다는 것이다.

비판과 변화

대량응징보복 전략은 이후 케네디 행정부 시기에 '유연한 대응'(Flexible Response) 전략으로 대체되었다. 유연한 대응 전략은 공격의 성격과 규모에 따라 다양한 수준의 대응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핵전쟁의 위험을 줄이고 억제력을 유지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대량응징보복 전략은 냉전 시대 미국의 안보 정책에 큰 영향을 미쳤지만, 핵전쟁의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다는 비판과 함께 유연한 대응 전략으로 대체되었다. 하지만 핵무기를 통한 억제 전략의 핵심적인 개념은 여전히 현대 핵 전략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