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31,164건

승가

승가(僧伽, 산스크리트어: saṃgha)는 불교 용어로, 부처님의 가르침을 따르는 출가 수행자들의 공동체를 의미한다. 넓은 의미로는 불제자 전체를 가리키기도 하지만, 일반적으로는 비구(남자 승려), 비구니(여자 승려), 사미(남자 견습 승려), 사미니(여자 견습 승려)의 출가 수행자 집단을 지칭한다. 승가는 불교의 삼보(三寶) 중 하나로, 불(佛, 깨달은 자), 법(法, 가르침)과 함께 불교의 핵심 구성 요소이다.

어원 및 의미

'승가'는 산스크리트어 'saṃgha'의 음역으로, '함께 하다', '모이다'라는 뜻을 가진 동사 'sam-han'에서 파생되었다. 따라서 승가는 '함께 모인 공동체'라는 의미를 내포하며, 불교 수행자들이 함께 모여 수행하고 교학을 연구하는 집단을 의미한다.

승가의 역할

승가는 불교에서 다음과 같은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 가르침의 보존 및 전승: 부처님의 가르침을 배우고 실천하며, 후대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 수행 공동체 유지: 함께 수행하며 서로 격려하고 지지하는 환경을 제공하여 수행자들이 정진할 수 있도록 돕는다.
  • 사회적 역할 수행: 불교의 가르침을 사회에 전파하고, 사회적 약자를 돕는 등 사회적 역할을 수행한다.
  • 신도들의 귀의처: 재가 신도들이 불법승 삼보에 귀의하여 신앙생활을 할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한다.

승가의 구성

승가는 전통적으로 비구, 비구니, 사미, 사미니의 네 가지 계층으로 구성된다. 이들은 각자 정해진 계율을 지키며 수행 생활을 한다. 비구와 비구니는 완전한 출가자로, 율장(계율)에 따른 엄격한 규율을 지켜야 한다. 사미와 사미니는 아직 완전한 출가자가 되기 전의 견습 승려로, 비구와 비구니에 비해 적은 수의 계율을 지킨다.

승가의 중요성

승가는 불교의 가르침을 보존하고 전승하는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며, 수행자들이 함께 정진할 수 있도록 돕는 중요한 공동체이다. 또한, 사회에 불교의 가르침을 전파하고 사회적 약자를 돕는 등 사회적 역할도 수행한다. 따라서 승가는 불교의 존립과 발전에 있어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