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59,723건

편도선

편도선은 구개편도, 인두편도 (아데노이드), 설편도, 이관편도를 통칭하는 용어이며, 일반적으로는 구개편도를 지칭하는 경우가 많다. 이들은 림프 조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주로 입과 코를 통해 들어오는 병원균에 대한 면역 반응을 담당한다.

해부학적 구조

편도 (특히 구개편도)는 구강 내 목젖 양 옆에 위치한 아몬드 모양의 조직이다. 표면은 림프 소절이 모여 있는 여러 개의 함몰된 구멍 (편도와)을 가지고 있으며, 점막으로 덮여 있다. 편도 내부에는 림프구가 밀집되어 있어 외부 항원에 대한 면역 반응을 효과적으로 수행한다. 인두편도 (아데노이드)는 비인두에 위치하며, 코 뒤쪽에서 목으로 넘어가는 통로에 위치한다. 설편도는 혀뿌리에 위치하고, 이관편도는 이관 입구 주변에 위치한다.

기능

편도선은 신체의 면역 체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주된 기능은 다음과 같다.

  • 항원 포착 및 면역 반응: 입과 코를 통해 들어오는 세균, 바이러스 등 항원을 포착하여 림프구를 활성화시키고 항체를 생성하여 면역 반응을 유도한다. 특히 어린 시절 면역 체계 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 림프구 생성: 림프구를 생산하고 저장하여 필요에 따라 혈액으로 방출하여 전신적인 면역 반응에 기여한다.

질환

편도선에 발생하는 대표적인 질환은 다음과 같다.

  • 편도염: 세균 또는 바이러스 감염에 의해 편도선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이다. 발열, 인후통, 삼킴 곤란 등의 증상을 유발하며, 심한 경우 농양이 형성될 수 있다. 급성 편도염은 항생제 치료로 호전될 수 있지만, 만성 편도염은 반복적인 염증으로 인해 편도선이 비대해지고 심한 인후통, 코골이, 수면 무호흡증 등을 유발할 수 있다.
  • 편도 비대: 편도선이 비정상적으로 커지는 현상이다. 감염, 알레르기, 유전적 요인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편도 비대는 호흡 곤란, 코골이, 수면 무호흡증, 삼킴 곤란 등의 증상을 유발할 수 있다.
  • 아데노이드 비대: 인두편도 (아데노이드)가 비대해지는 현상으로, 주로 소아에게서 나타난다. 코막힘, 구강 호흡, 코골이, 중이염 등을 유발할 수 있다.

치료

편도선 질환의 치료는 원인과 증상의 정도에 따라 달라진다. 항생제 치료, 소염제 치료, 수술적 치료 등이 있으며, 만성 편도염이나 편도 비대로 인해 심한 증상이 지속되는 경우에는 편도 절제술을 고려할 수 있다. 아데노이드 비대의 경우에도 증상이 심하면 아데노이드 절제술을 시행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