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34,689건

국채보상운동

국채보상운동은 1907년 대한제국 시기에 일본이 대한제국 정부에 강제로 지운 차관(국채)을 갚기 위해 전국적으로 일어난 국민적 모금 운동이자 경제적 구국 운동이다. 일본의 경제적 예속 시도에 맞서 민족의 경제적 주권을 지키고 국권을 수호하려는 목적으로 전개되었다.

배경

1905년 을사늑약 이후 대한제국을 보호국으로 만든 일본은 대한제국 정부에 막대한 규모의 차관을 빌려주어 경제적으로 예속시키려 했다. 이 국채는 사실상 일본이 한국을 지배하기 위한 수단이었으며, 당시 대한제국의 1년 예산과 맞먹는 1,300만원이라는 거액이었다. 이 빚을 갚지 못하면 국가 재정이 완전히 일본의 통제 하에 들어갈 위기에 처했다.

전개

1907년 1월, 대구에서 서상돈, 김광제 등이 중심이 되어 국채보상운동이 시작되었다. 이들은 "국채 1,300만원은 대한제국의 존망과 직결된 것이니, 이를 갚지 못하면 나라가 망할 것이다. 2천만 동포가 담배를 끊고 술을 줄이는 등 절약하여 3개월 동안 1인당 20전씩 모으면 1,300만원을 모을 수 있다"고 호소하며 모금 운동을 제안했다.

이 운동은 대한매일신보, 황성신문, 제국신문 등 당시의 언론들이 적극적으로 보도하고 국민의 참여를 독려하면서 전국적으로 확산되었다. 특히 대한매일신보는 영국인 발행인 베델의 명의로 발행되어 일본의 검열을 피하기 비교적 용이했기에 운동 확산에 큰 역할을 했다. 전국 각지에서 상인, 노동자, 농민, 학생, 여성, 심지어 기생까지 계층과 성별을 가리지 않고 참여했다. 사람들은 금연, 금주 외에도 가락지, 비녀 등 패물을 내놓거나 일상생활에서 절약한 돈을 기부했다.

탄압과 결과

일본 통감부는 이 운동이 단순한 경제 운동을 넘어 항일 민족 운동으로 확산되는 것을 경계했다. 통감부는 운동의 핵심 인물인 대한매일신보의 양기탁 등을 공금 횡령 혐의로 구속하는 등 탄압을 가했으며, 모금된 자금의 관리와 이동을 방해했다. 이러한 탄압으로 운동은 점차 위축되었고, 결국 국채를 모두 갚는 데는 실패했다.

의의와 평가

비록 재정적 성공을 거두지는 못했지만, 국채보상운동은 당시 대한제국 국민들이 보여준 높은 수준의 애국심과 민족적 단결력을 상징하는 사건이다. 일본의 경제적 침탈에 맞서 자발적으로 경제 주권을 지키려 했다는 점에서 큰 의미를 갖는다. 이는 이후 독립운동에도 영향을 주었으며, 일제강점기 및 현대에도 국가적 위기 시 국민적 모금 운동의 정신적 뿌리가 되었다고 평가받는다. 애국계몽운동의 일환으로서 민족 자강 의지를 보여준 대표적인 사례로 꼽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