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21,166건

고경

고경(古鏡)은 청동기 시대부터 조선 시대에 이르기까지 제작된 거울을 총칭하는 말이다. 재료는 주로 청동이며, 형태, 문양, 제작 기법 등에서 시대별 특징을 보인다. 고경은 단순한 거울의 기능을 넘어 권력의 상징, 제례 의식 도구, 장식품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었다.

역사

  • 청동기 시대: 한반도에서 발견되는 가장 오래된 거울은 청동기 시대의 것이다. 초기에는 방패형, 검파형 등 단순한 형태였으나, 점차 정교한 기하학적 문양이 더해졌다. 이러한 거울은 주로 지배 계층의 무덤에서 발견되어, 그들의 권위와 사회적 지위를 나타내는 것으로 해석된다.
  • 삼국 시대: 삼국 시대에는 중국으로부터 선진적인 거울 제작 기술이 유입되면서 더욱 다양하고 화려한 고경이 제작되었다. 특히 백제와 가야 지역에서 수준 높은 청동 거울이 많이 출토되었다. 이 시기에는 용, 봉황, 신선 등 다양한 문양이 등장하며, 거울 뒷면에 명문을 새겨 넣는 경우도 있었다.
  • 통일신라 시대: 통일신라 시대에는 불교의 영향을 받아 불교 관련 문양이 새겨진 고경이 제작되기도 했다. 또한, 신라의 고유한 문양과 중국의 문양이 혼합된 형태의 거울도 나타났다.
  • 고려 시대: 고려 시대에는 이전 시대의 전통을 계승하면서도 새로운 문양과 기법이 시도되었다. 특히 거울 뒷면에 새겨진 명문을 통해 제작 시기, 제작자, 소유자 등을 알 수 있는 경우가 많다.
  • 조선 시대: 조선 시대에는 청동 거울 외에도 백동 거울이 제작되었으며, 거울의 크기가 작아지고 실용적인 형태로 변화되었다. 또한, 거울을 보관하는 경대와 함께 사용되는 경우가 많아졌다.

특징

  • 재료: 주로 청동으로 제작되지만, 백동, 철 등으로 만들어진 것도 있다.
  • 형태: 원형이 가장 흔하며, 사각형, 팔각형 등 다양한 형태가 존재한다.
  • 문양: 기하학적 문양, 동물 문양(용, 봉황, 호랑이 등), 식물 문양(연꽃, 모란 등), 인물 문양, 신선 문양 등 다양한 문양이 새겨진다.
  • 제작 기법: 주조 기법을 사용하여 제작되었으며, 표면을 갈고 닦아 광택을 내었다.

의의

고경은 고대 사회의 문화, 기술, 사상 등을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자료이다. 거울에 새겨진 문양, 명문 등을 통해 당시 사람들의 생활 모습, 종교관, 예술관 등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고경은 고대 국가 간의 교류 관계를 보여주는 중요한 유물이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