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48,292건

경계선 지능

경계선 지능(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ing)은 지능 지수(IQ)가 평균에 미치지 못하지만, 지적 장애로 분류될 만큼 낮지는 않은 상태를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IQ 70점 초과 85점 미만에 해당하는 경우를 경계선 지능으로 진단한다. 과거에는 ‘경계선 지능’이라는 용어 외에 ‘지능 저하’라는 용어도 사용되었으나, 현재는 ‘경계선 지능’이 더 널리 사용되고 있다.

특징

경계선 지능을 가진 사람들은 인지 능력, 학습 능력, 사회 적응 능력 등에서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이들은 추상적인 개념을 이해하거나 복잡한 문제를 해결하는 데 어려움을 느끼며, 또래에 비해 학습 속도가 느리고 학업 성취도가 낮을 수 있다. 또한, 사회적 상황을 이해하고 적절하게 대처하는 데 어려움을 겪어 대인 관계에 어려움을 겪을 수도 있다.

원인

경계선 지능의 원인은 유전적 요인, 환경적 요인, 생물학적 요인 등 다양한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유전적 요인으로는 가족력이 있으며, 환경적 요인으로는 영양 부족, 가정 환경의 불안정, 교육 기회의 부족 등이 있다. 생물학적 요인으로는 뇌 손상, 감염, 대사 질환 등이 있다.

진단 및 평가

경계선 지능은 일반적으로 지능 검사를 통해 진단된다. 대표적인 지능 검사로는 웩슬러 지능 검사(Wechsler Intelligence Scale)와 스탠퍼드-비네 지능 검사(Stanford-Binet Intelligence Scales) 등이 있다. 또한, 인지 능력, 학습 능력, 사회 적응 능력 등을 평가하기 위해 다양한 심리 검사 및 행동 관찰이 이루어질 수 있다.

지원 및 개입

경계선 지능을 가진 사람들은 개별적인 특성과 필요에 맞는 적절한 지원과 개입을 통해 성장과 발달을 촉진할 수 있다. 교육적인 측면에서는 개별화된 교육 계획(IEP)을 수립하여 학습 능력을 향상시키고, 사회 기술 훈련을 통해 사회 적응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심리 상담 및 치료를 통해 정서적인 안정과 자존감을 높일 수 있다. 가족 및 지역 사회의 지지와 협력 또한 중요한 역할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