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30,946건

가도멸괵

가도멸괵은 '길을 빌려 괵나라를 멸망시킨다'는 뜻으로, 목적 달성을 위해 다른 것을 이용하거나 속임수를 쓰는 계략을 비유하는 고사성어이다.

유래

《춘추좌씨전(春秋左氏傳)》 희공(僖公) 5년에 등장하는 고사에서 유래되었다. 기원전 655년, 진(晉)나라 헌공(獻公)이 괵(괵)나라를 정벌하려 했으나, 괵나라로 가는 길은 우(虞)나라를 거쳐야만 했다. 이에 진나라는 우나라에게 좋은 말과 벽옥을 선물하며 길을 빌려줄 것을 청했고, 우나라 군주 우공(虞公)은 탐욕에 눈이 멀어 진나라의 제안을 받아들였다. 진나라는 우나라를 통해 괵나라를 쉽게 멸망시킨 후, 돌아오는 길에 우나라 역시 멸망시켜 원래 목적을 달성했다.

의미

가도멸괵은 직접적인 공격 대신 우회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목적을 달성하는 계략을 의미한다. 또한, 눈앞의 이익에 눈이 멀어 더 큰 손해를 볼 수 있다는 경고의 의미도 내포하고 있다. 현대에는 정치, 경제, 사회 등 다양한 분야에서 목적 달성을 위해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는 상황을 비판적으로 묘사할 때 사용된다.

관련 고사성어

  • 순망치한(脣亡齒寒): 입술이 없으면 이가 시리다는 뜻으로, 서로 밀접한 관계에 있어 하나가 망하면 다른 하나도 영향을 받는다는 의미. 우나라와 괵나라의 관계를 비유할 수 있다.
  • 교토사주(狡兎死走狗烹): 교활한 토끼가 죽으면 사냥개도 삶아 먹힌다는 뜻으로, 필요할 때는 이용하다가 필요 없어지면 버리는 냉혹한 상황을 비유. 진나라가 우나라를 멸망시킨 상황과 유사하다.
  • 배은망덕(背恩忘德): 은혜를 잊고 배신한다는 뜻으로, 우나라가 진나라의 속임수에 넘어간 상황을 비판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