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oute (명령어)
route 명령어는 네트워킹에서 특정 목적지로 데이터 패킷을 전달하는 경로를 설정하거나 표시하는 데 사용되는 명령어다. 운영체제와 네트워크 환경에 따라 구현 방식과 사용법이 다를 수 있다. 일반적으로 라우팅 테이블을 관리하거나, 특정 인터페이스를 통해 특정 목적지로의 통신을 강제하는 데 사용된다.
기능
-
라우팅 테이블 표시: 대부분의 시스템에서
route
명령어는 현재 설정된 라우팅 테이블의 내용을 보여준다. 이는 각 네트워크 목적지에 대한 최적 경로(게이트웨이 및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
정적 라우트 추가: 시스템 관리자는
route
명령어를 사용하여 정적 라우트를 추가할 수 있다. 정적 라우트는 특정 네트워크 또는 호스트에 대한 경로를 수동으로 설정하는 것이다. 이는 동적 라우팅 프로토콜이 사용되지 않거나, 특정 상황에서 특정 경로를 강제로 사용해야 할 때 유용하다. -
정적 라우트 삭제:
route
명령어는 기존에 추가된 정적 라우트를 삭제하는 기능도 제공한다. -
라우팅 테이블 수정: 일부 시스템에서는
route
명령어를 사용하여 라우팅 테이블의 메트릭(경로의 비용)과 같은 다른 매개변수를 수정할 수 있다.
사용 예시 (일반적인 형태)
route
명령어의 구문은 운영체제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형태를 갖는다.
-
라우팅 테이블 표시:
route print
또는ip route show
와 같은 명령어를 사용한다. -
정적 라우트 추가:
route add <목적지> mask <서브넷 마스크> gateway <게이트웨이>
와 유사한 형태로 목적지 네트워크, 서브넷 마스크, 그리고 게이트웨이를 지정하여 추가한다. -
정적 라우트 삭제:
route delete <목적지> mask <서브넷 마스크>
와 같은 형태로 삭제할 라우트를 지정한다.
운영체제별 차이
route
명령어는 Windows, Linux, macOS 등 다양한 운영체제에서 사용되지만, 구문과 기능이 약간씩 다르다. Linux에서는 ip route
명령어가 route
명령어를 대체하는 추세이며, 더욱 강력하고 다양한 기능을 제공한다. Windows에서는 route print
, route add
, route delete
등의 명령어를 사용한다. 각 운영체제의 매뉴얼을 참조하여 자세한 사용법을 확인해야 한다.
관련 용어
- 라우팅(Routing): 네트워크에서 데이터 패킷을 목적지로 전달하는 과정
- 라우팅 테이블(Routing Table): 네트워크 경로 정보를 저장하는 테이블
- 게이트웨이(Gateway): 다른 네트워크로 패킷을 전달하는 장치 또는 시스템
- 정적 라우팅(Static Routing): 수동으로 라우팅 경로를 설정하는 방식
- 동적 라우팅(Dynamic Routing): 라우팅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자동으로 라우팅 경로를 설정하는 방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