히스타민
히스타민 (Histamine)은 생체 내에서 다양한 생리 활성을 나타내는 유기 화합물로, 면역 반응, 위산 분비, 신경 전달 등에 관여하는 중요한 물질이다. 화학적으로는 이미다졸 고리를 가진 아민이며, 체내에서는 히스티딘이라는 아미노산으로부터 합성된다.
개요
히스타민은 주로 비만세포, 호염기구, 위장관 내의 장크롬친화성 세포 (ECL cell), 특정 신경세포 등에 존재하며, 이러한 세포들이 특정 자극을 받을 때 분비된다. 분비된 히스타민은 혈관, 평활근, 신경 등에 분포하는 히스타민 수용체 (H1, H2, H3, H4)와 결합하여 다양한 생리적 반응을 유발한다.
생리적 기능
- 면역 반응: 히스타민은 알레르기 반응의 주요 매개체로 작용한다. 알레르겐에 노출된 비만세포가 히스타민을 분비하면 혈관 확장, 혈관 투과성 증가, 가려움증, 기관지 수축 등의 증상을 유발한다.
- 위산 분비: 위장관 내의 ECL 세포에서 분비된 히스타민은 벽세포를 자극하여 위산 분비를 촉진한다.
- 신경 전달: 뇌에서 히스타민은 신경전달물질로 작용하여 각성, 수면 조절, 식욕 조절 등에 관여한다.
- 혈관 확장: 히스타민은 혈관 평활근을 이완시켜 혈관을 확장시키고 혈압을 낮출 수 있다.
- 염증 반응: 히스타민은 염증 부위로 면역 세포를 유도하고 혈관 투과성을 증가시켜 염증 반응을 촉진한다.
히스타민과 관련된 질환
- 알레르기 질환: 알레르기 비염, 아토피 피부염, 두드러기, 천식 등 알레르기 질환의 주요 원인 물질 중 하나이다.
- 위궤양 및 위염: 과도한 히스타민 분비는 위산 과다 분비를 유발하여 위궤양 및 위염을 악화시킬 수 있다.
- 비만세포증: 비만세포의 과도한 증식으로 인해 히스타민이 과다하게 분비되어 다양한 증상을 유발하는 질환이다.
- 히스타민 불내성: 히스타민을 분해하는 효소의 결핍으로 인해 히스타민이 축적되어 발생하는 질환으로, 소화불량, 두통, 피부 발진 등의 증상을 유발할 수 있다.
치료
히스타민 관련 질환의 치료에는 항히스타민제, 히스타민 유리 억제제, 위산 분비 억제제 등이 사용된다. 항히스타민제는 히스타민 수용체와의 결합을 차단하여 히스타민의 작용을 억제하며, 히스타민 유리 억제제는 비만세포로부터의 히스타민 분비를 억제한다. 위산 분비 억제제는 위산 분비를 억제하여 히스타민에 의한 위산 과다 분비로 인한 위장 질환을 완화시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