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두엽
후두엽 (Occipital lobe)은 대뇌 반구의 가장 뒤쪽에 위치하며 시각 정보를 처리하는 뇌의 영역이다. 두정엽 및 측두엽과 경계를 이루며, 시각 피질을 포함하여 시각 인식, 공간 지각, 색깔 인지 등 다양한 시각 기능을 담당한다.
위치와 구조
후두엽은 대뇌의 뒤통수 부분에 위치하며, 두개골의 후두골 아래에 자리 잡고 있다. 대뇌 반구의 좌우에 각각 하나씩 존재하며, 크게 다음과 같은 영역으로 나뉜다.
- 일차 시각 피질 (V1, Broadmann area 17): 망막에서 전달된 시각 정보를 처음으로 받아 처리하는 영역이다. 시각 정보의 기본적인 특징 (선, 각도, 움직임 등)을 분석한다.
- 시각 연합 피질 (V2, V3, V4, V5 등): 일차 시각 피질에서 처리된 정보를 받아 더욱 복잡한 시각 정보를 처리한다. 색깔, 형태, 움직임, 공간 관계 등을 인지하는 데 관여한다.
기능
후두엽은 시각 정보 처리의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며,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은 기능을 담당한다.
- 시각 인식: 물체의 형태, 색깔, 크기 등을 인지하고 식별하는 기능
- 공간 지각: 물체의 위치, 거리, 방향 등을 파악하고 공간 관계를 이해하는 기능
- 색깔 인지: 색상을 구별하고 식별하는 기능
- 움직임 인지: 물체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추적하는 기능
- 시각 기억: 시각 정보를 저장하고 회상하는 기능
손상 시 증상
후두엽 손상은 다양한 시각 장애를 초래할 수 있으며, 손상 부위와 정도에 따라 나타나는 증상이 다르다. 대표적인 증상은 다음과 같다.
- 시야 결손: 시야의 일부 또는 전체가 보이지 않는 현상 (예: 반맹, 사분맹)
- 시각 인지 장애: 물체를 인식하거나 구별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 현상 (예: 시각 실인증)
- 색각 이상: 색상을 구별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 현상 (예: 색맹, 색약)
- 운동 시야 장애: 움직이는 물체를 따라가는 데 어려움을 겪는 현상
- 환시: 실제 존재하지 않는 시각적 이미지를 보는 현상
후두엽 손상은 뇌졸중, 외상성 뇌 손상, 종양, 감염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으며, 정확한 진단과 적절한 치료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