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79,035건

연결 그래프

연결 그래프는 그래프 이론에서 다루는 개념으로, 그래프 내의 모든 정점 쌍 사이에 경로가 존재하는 그래프를 의미한다. 다시 말해, 그래프 내 임의의 두 정점을 선택했을 때, 한 정점에서 다른 정점으로 이동할 수 있는 경로가 적어도 하나 이상 존재하면 그 그래프는 연결 그래프라고 할 수 있다.

더 자세히 설명하자면, 그래프 G = (V, E) (여기서 V는 정점의 집합, E는 간선의 집합)에서, 임의의 두 정점 u, v ∈ V에 대해 u에서 v로 가는 경로가 존재하면 G는 연결 그래프이다.

만약 그래프가 연결 그래프가 아니라면, 그 그래프는 비연결 그래프라고 불린다. 비연결 그래프는 하나 이상의 연결 요소로 구성되는데, 연결 요소는 그래프 내에서 서로 연결된 정점들의 최대 집합을 의미한다. 즉, 연결 요소 내의 모든 정점은 서로 도달 가능하지만, 다른 연결 요소에 있는 정점으로는 도달할 수 없다.

연결 그래프는 네트워크 분석, 경로 탐색, 데이터 구조 등 다양한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소셜 네트워크에서 연결 그래프는 모든 사용자가 직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음을 의미하며, 도로망에서 연결 그래프는 모든 도시가 도로를 통해 연결되어 있음을 의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