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매기
판매기 (販賣機), 또는 자동판매기(自動販賣機)는 동전이나 지폐, 카드 등의 결제 수단을 투입하면 미리 정해진 상품을 자동으로 판매하는 기계 장치이다.
개요
판매기는 인간의 개입 없이 상품을 판매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인건비 절감 및 24시간 운영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진다. 초기에는 주로 음료수나 담배 등을 판매하는 데 사용되었으나, 기술 발전과 함께 식품, 생활용품, 심지어 식사류까지 다양한 상품을 판매하는 형태로 진화하고 있다.
역사
자동판매기의 기원은 고대 이집트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기원전 1세기경, 알렉산드리아의 수학자 헤론이 성수를 자동으로 판매하는 기계를 고안한 것이 최초의 기록으로 알려져 있다. 현대적인 형태의 자동판매기는 19세기 후반 영국에서 등장했으며, 우표나 엽서를 판매하는 데 사용되었다. 이후 미국을 거쳐 전 세계로 확산되었다.
작동 원리
판매기의 작동 원리는 크게 결제 시스템, 상품 선택 시스템, 상품 배출 시스템으로 나눌 수 있다. 결제 시스템은 투입된 결제 수단을 인식하고 금액을 확인하는 역할을 한다. 상품 선택 시스템은 소비자가 선택한 상품의 정보를 처리한다. 상품 배출 시스템은 선택된 상품을 소비자에게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종류
판매기는 판매하는 상품의 종류, 결제 방식, 기능 등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될 수 있다.
- 판매 상품별: 음료수 자판기, 커피 자판기, 스낵 자판기, 담배 자판기, 식품 자판기, 생활용품 자판기 등
- 결제 방식별: 현금 자판기, 카드 자판기, 모바일 결제 자판기 등
- 기능별: 냉장 자판기, 온장 자판기, 터치스크린 자판기, 스마트 자판기 등
장점 및 단점
판매기의 장점은 다음과 같다.
- 인건비 절감
- 24시간 운영 가능
- 좁은 공간 활용 가능
- 비대면 거래 가능
판매기의 단점은 다음과 같다.
- 초기 설치 비용 발생
- 정기적인 유지보수 필요
- 상품 다양성 제한
- 고장 발생 가능성
미래 전망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발맞춰 판매기는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등 첨단 기술과 결합하여 더욱 스마트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개인 맞춤형 상품 추천, 재고 관리 자동화, 원격 제어 등의 기능이 추가되어 사용자 편의성을 높이고 효율적인 운영을 가능하게 할 것이다. 또한, 친환경 소재 사용 및 에너지 효율 향상을 통해 지속 가능한 판매기 시스템 구축이 중요해질 것이다.